오세훈표 선별복지 ‘안심소득’에 3만4000가구 신청

입력 2022-04-13 11:35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안심소득 시범사업 관련 일정 (자료제공=서울시)
▲안심소득 시범사업 관련 일정 (자료제공=서울시)

총 500가구를 선정하는 서울시의 오세훈표 복지모델인 ‘안심소득’ 시범사업에 약 3만4000가구가 신청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는 기준 중위소득 50% 이하 서울시민을 대상으로 안심소득 참여가구를 모집한 결과 3만4000가구가 몰려 약 67.6대 1의 경쟁률을 보였다고 13일 밝혔다.

오 시장의 공약사업인 안심소득은 소득이 적을수록 더 많이 지원하는 '하후상박(下厚上薄)형' 소득보장제도다. 지원집단으로 선정된 가구는 3년간 매월 기준 중위소득 85%와 가구소득 간 차액의 절반을 지원받는다. 소득이 없는 4인 가구는 월 217만 원, 1인 가구는 월 82만7000원을 받게 된다.

이번 시범사업에 신청한 가구 규모를 보면 1인 가구가 1만6940건(50.1%)으로 가장 많았다. 2인 가구는 6589건(19.5%), 3인 가구는 5028건(14.9%) 순이다.

연령별로는 40~64세층이 1만7092건(50.6%)로 가장 많이 신청했으며, 39세 이하는 1만1860건(35.1%), 65세 이상이 4851건(14.4%)으로 집계됐다.

시는 가구 규모, 가구주 연령 등을 토대로 3번에 걸쳐 과학적 표본 추출 방식을 통해 총 500가구를 선정할 계획이다. 1차로 온라인 신청 가구 중 5000가구를 무작위로 추출해 14일 발표한다. 해당 가구는 기한 내 거주지 동 주민센터에 방문해 안심소득 참여 신청서 등 관련 서류를 제출해야 한다.

이후 2차로 5~6월중 소득·재산조사를 거쳐 1800가구를 선정하고, 최종적으로 6월 말 500가구를 확정한다. 중간 선정 가구로 통보받은 가구는 사전 설문 조사를 필수적으로 해야 한다.

1차 선정결과와 최종선정 결과는 서울시 홈페이지 ‘공고’, 서울복지포털 홈페이지, 서울 안심소득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첫 지급일은 7월11일이다.

하영태 서울시 복지정책과장은 “서울시민의 미래 복지 모델을 마련하기 위한 소득보장정책실험인 만큼 각 선정과정을 투명하고 공정하게 진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연준, 기준금리 동결…4.25~4.5%
  • ‘터졌다하면 수백억’…정치권 규제 프레임 갇힌다 [횡령의 땅, 규제의 그림자 下]
  • 어버이날 인사말 고민? 2025 어버이날 문구 총정리
  • "'효심'으로 대하니 만족도도 올라가요" 우리은행 시니어 점포 가보니 [그레이트 시니어 上]
  • 챔스 결승전 대진표 완성…'빅 이어' 주인공은?
  • '골때녀' 월드클라쓰, 4회 우승 저력 어디갔나⋯구척장신에 1-3 패배 '멸망전' 위기
  • 가족사진 무료라더니 앨범·액자 비용 폭탄…가정의 달 사기 주의보 [데이터클립]
  • 김문수-한덕수, 단일화 불발...“다시 만나잔 약속도 없어”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5.07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7,689,000
    • +0.14%
    • 이더리움
    • 2,571,000
    • -0.39%
    • 비트코인 캐시
    • 543,500
    • +2.64%
    • 리플
    • 3,018
    • -1.44%
    • 솔라나
    • 209,100
    • +0.19%
    • 에이다
    • 952
    • -1.24%
    • 이오스
    • 1,161
    • +18.47%
    • 트론
    • 353
    • +0.86%
    • 스텔라루멘
    • 370
    • -1.07%
    • 비트코인에스브이
    • 52,400
    • -0.95%
    • 체인링크
    • 19,620
    • -0.2%
    • 샌드박스
    • 390
    • +1.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