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형 원전 건설 중인 UAE, 한국과 “원전·수소 등 에너지 협력 강화”

입력 2022-05-31 11: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UAE 대표단 내달 3일까지 한국 체류하며 한전·한수원 등 사장단 면담

▲아랍에미리트(UAE) 바라카 원전 1호기 (사진제공=한국전력)
▲아랍에미리트(UAE) 바라카 원전 1호기 (사진제공=한국전력)

한국과 아랍에미리트(UAE)가 원자력발전소는 물론 수소 등 다양한 에너지 분야 협력을 강화하기로 했다.

박일준 산업통상자원부 2차관은 31일 서울 외교부 청사에서 UAE 원전건설사업 발주처인 UAE 원자력공사(ENEC)의 모하메드 알 하마디(Mohammed Al Hammadi) 사장과 만나 에너지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이 자리에서 박 차관은 “지난 3월 상업운전을 개시한 바라카 원전 2호기의 성공적인 상업운전을 축하하고 이를 통해 양국의 원전협력이 결실을 맺고 있다”며 “남은 3,4호가 순조롭게 준공 될 수 있도록 한국 정부도 적극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박 차관과 하마디 사장은 국이 바라카에서 이룩한 성과를 바탕으로, 앞으로 원전, 수소 등 다양한 에너지 분야에서 협력 확대에 대한 의견도 나눴다.

UAE 원전사업은 한국형 원전인 APR1400 4기(5600㎿)를 UAE 아부다비 바라카 지역에 건설하는 한국 최초의 해외원전건설 사업으로서 우리나라 기업들이 설계, 제작, 시공, 시운전 및 운영지원 등 사업 전반에 주도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한국은 바라카 원전의 성공적인 준공을 통해 한국의 기술력과 사업역량을 세계에 입증하고 있으며, 향후 한국의 추가적인 원전 수주시 마중물 역할을 할 것으로 산업부는 기대하고 있다.

바라카 4개 호기가 모두 준공되면 UAE 전력수요의 25%를 담당하며, UAE의 탄소중립 목표 달성에도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바라카 원전 운영사 Nawah, 바라카 사업법인 BOC 등 UAE 대표단은 내달 3일까지 한국에 추가로 머무르며 UAE 바라카 사업에 참여하는 팀코리아 사장단 등과도 면담을 가질 예정이다. 팀코리아는 한국전력, 한국수력원자력, 한전기술, 한전KPS, 두산중공업, 삼성물산 등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김문수 후보직 박탈-한덕수로 강제교체...파국 치닫는 국힘
  • 3050 공략 스테디셀러 ‘삼국지 IP’, 어떤 게임 해볼까? [딥인더게임]
  • “러닝족은 귀하신 몸”…패션업계, 러너 체험 마케팅·전문관 봇물
  • ‘단종할 땐 언제고’...식품업계, 저비용·높은 화제성 노린 재출시 열풍
  • “유심 털리니 계좌도 걱정”…은행권, ‘얼굴 인증’ 강화
  • 죽은 연애 세포 되살려내는 '바이러스'…배두나·김윤석·장기하의 만남 [시네마천국]
  • "이곳저곳 떠나보세요"…황금연휴, 가족 행사로 마무리하는 법 [주말N축제]
  • 중국, 미국 수출 제재에도 엔비디아 칩 확보한 방법은?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5.09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4,057,000
    • -0.02%
    • 이더리움
    • 3,435,000
    • +5.76%
    • 비트코인 캐시
    • 587,500
    • +3.07%
    • 리플
    • 3,370
    • +2.62%
    • 솔라나
    • 239,300
    • +0.21%
    • 에이다
    • 1,129
    • +3.11%
    • 이오스
    • 1,286
    • +7.71%
    • 트론
    • 364
    • -1.09%
    • 스텔라루멘
    • 425
    • +2.66%
    • 비트코인에스브이
    • 57,900
    • +1.4%
    • 체인링크
    • 23,380
    • +4.51%
    • 샌드박스
    • 485
    • +5.2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