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임금ㆍ고위험 구조 실효성 의문
업계, 중국 저가 공세 맞서 출혈경쟁
선제적 구조 재편 수익성 확보를"
한국 조선업의 초격차 경쟁을 이루기 위해 인력의 두 배가량 덩치를 불려야 할 뿐 아니라, 빅2 체제로의 구도 재편도 해야 한다고 조선업계가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앞서 한국조선해양플랜트협회가 조사한 결과 한국 조선업이 글로벌 경쟁력 1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향후 5년간 4만 3000명의 전문인력이 추가로 투입돼야 한다.
25일 본지 취재를 종합하면, 2020년 기준 조선업 정규직 인력의 숫자는 4만3000명이다. 전날 한국조선해양플랜트협회는 글로벌 경쟁력 1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향후 5년간 4만3000명의 전문인력이 추가로 투입돼야 한다고 밝혔는데 이는 하청 근로자 등을 제외하고도 사실상 인력만 두 배를 투입해야 하는 수치다. 하지만 업계에서는 대규모 인력 투입만이 능사가 아니라고 지적한다.
업계 관계자 A씨는 “대형 선박 위주의 노동집약적인 K-조선업 특성상 인력 투입은 경쟁력의 원천이자 생명과도 같은 일이어서 몸집 불리기는 필연적이다”며 “하지만 공정 효율화를 이뤄야 하는 기조에서 저임금 ·고위험 구조라 대규모 인력 투입의 실효성은 의문”이라고 밝혔다.
조선업계 특성상 슈퍼 사이클로 인해 대규모 인력이 요구되지만, 업계의 불황이 닥치면 또다시 충원한 인력에 대한 구조조정이 불가피하다. 업계는 2030년까지 LNG선 호황을 전망하지만, 그 이후는 낙담하기 어렵다는 견해다. 업계 관계자 B씨는 “이러한 업계의 고용 탄력성 때문에 원·하청 구조로 돌아가는 상황”이라며 “과도한 인력 투입이 이중 하청 구조를 악화시킬 수 있다는 건 부인하기 어렵다”고 우려했다.
업계는 초격차를 위한 구도 개편에 대해서도 재차 목소리를 내고 있다. 한국조선해양, 대우조선해양, 삼성중공업 등 현재의 조선 빅3 구도에서 빅2로 산업을 재편해야 한다는 업계의 분석이 꾸준히 있었다. 이러한 주장은 2000년대 중후반 중국 조선사와 경쟁으로 인한 저가 수주에서 비롯됐다. 그동안 국내 조선업계는 중국의 저가 공세에 맞서 출혈 경쟁을 벌이면서 저가, 과다 수주 여파가 현재까지도 이어져 하청 근로자들에게 고통 감수를 전가하고 있다.
과거부터 꾸준히 업계에서는 선제적인 산업 재편으로 저가 수주 등 출혈 경쟁을 방지해 수익성이 높아질 가능성이 큰 빅2 체제가 적합하다는 의견을 냈었다. 당시 공기업 1개와 민간 기업 2개로 이뤄진 구도로서, ‘주인 없는’ 대우조선해양이 균형적이고 정당한 플레이어가 아니라는 의견이었다. 맥켄지도 2016년 당시 국내 조선업계에 대해 2사 체제로 개편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밝혔었다. 하지만 이 주장은 지난 1월 유럽연합(EU)이 현대중공업그룹의 대우조선해양 인수를 불발시키고, 최근 한화가 인수 수순을 밟으며 빅3 체제를 공고화하는 등 다소 상황이 바뀌었다.
하지만 업계는 한국 조선업이 영속해나가려면 빅3 체제론 한계가 있다고 강조한다. 업계 관계자 C씨는 “중국과 한국의 중소 조선소가 대다수 문을 닫는 등 여전히 글로벌 공급 과잉은 현재 진행 중”이라고 말했다. 업계 관계자 D씨도 “구도 개편은 퀘스천 마크다. 한화가 인수하면서 대우조선해양이 경영 정상화되고, 민간 기업처럼 경쟁력을 확보하게 되면 그때는 구도 개편이 또 다른 문제가 될 수 있다”며 “구도개편은 한화가 인수 과정을 밟으며 새로운 판도로 접어든 사항”이라고 말했다. 이어 “구도 개편은 이뤄져야 하고 지켜봐야 할 문제지만 향후에도 조선업 미완의 과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