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희룡 “규제 푼다고 집값 오르지 않을 것”

입력 2023-01-08 09: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원 장관, CES 참석 위해 방미…미 주택도시개발부·교통부 장관 면담

▲원희룡 국토부 장관이 6일(현지시간) 피트 부티지지(Pete Buttigieg) 미국 교통부 장관을 만나 악수를 하고 있다.  (사진제공=국토교통부)
▲원희룡 국토부 장관이 6일(현지시간) 피트 부티지지(Pete Buttigieg) 미국 교통부 장관을 만나 악수를 하고 있다. (사진제공=국토교통부)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은 6일(현지시간) 정부의 고강도 부동산 규제 완화와 관련해 “규제를 푼다고 주택 가격이 오르리라 기대도 안 하고, 그렇게 보지도 않는다”고 말했다.

원 장관은 이날 워싱턴DC에서 특파원들과 간담회에서 이같이 말했다. 원 장관은 미국 라스베가스에서 열리는 가전 박람회 CES 참석을 위해 미국을 방문 중이다.

그는 “현재 금리 상승이 끝나지 않았다고 보이고, 하락 시점을 알 수 없는 상황”이라며 “주택 가격 자체가 너무 높다는 점에 대해선 의견을 바꾼 적이 없지만, 문제는 실수요자”라고 지적했다.

원 장관은 “청약 당첨자 등 가격과 관계없이 거래를 진행해야 하는 사람들이 거래 단절로 도로가 끊긴 것”이라며 “최소한 거래 단절로 가계 파탄이 오는 부분에 대해 숨통을 트고 속도를 늦출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원 장관은 “부동산발(發) 금융 타격, 금융발 실물 시장 타격이 올 수 있고, 순식간의 연쇄반응을 막을 필요가 있다”며 “시장 기대보다 앞당기고 강도를 높인 게 맞지만, 과거같이 빚 내 집을 사라거나 가격을 부양하려는 것과는 의도도 다르고 결과도 다르다”고 덧붙였다. 특히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유지로 “빚을 내려고 해도 낼 수 없다”고도 했다.

‘빌라왕’ 전세사기 사태에 대해선 “임대차 3법이 통과되며 전세대란이 발생하고, 여기에 갭투자가 들어왔다”며 “여기에 조직적으로 범죄적으로 머리가 잘 도는 사람들이 들어와 공범으로 묶이는 것으로 드러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 부분은 사기의 여지를 철저히 단속해 틀어막으려 한다”며 “속일 수 없게 정보를 공개하고, 중개사와 감정평가사의 결탁을 강력히 제재하고, 국세청 정보 같은 것은 수요자들이 바로 확인할 수 있게 전 부처가 달려들어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전세제도 자체의 개선에 대해선 “전세 제도 자체는 시장의 선택에 따른 것”이라며 “문제는 보호장치를 어떻게 마련할지”라고 전반적인 제도 수술에는 선을 그었다.

한편, 원 장관은 이날 피트 부티지지 미 교통부 장관, 마르시아 퍼지 주택부 장관과 잇달아 면담했다. 이 자리에서 원 장관은 “저금리 시대 주택 가격 폭등, 고금리 시절 주택가격 하락 등 여러 불안 요인에 대해 주고받았다”라며 “주택 정책에 대해 미국도 한국과 똑같은 고민을 하고 있었고, 실무적 교류를 구축하자고 했다”고 전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당일치기로 충분!…놀러 가기 좋은 '서울 근교' 핫플레이스 5곳
  • 돈 없는데 어린이날에 어버이날까지…예상 지출 금액은 '39만 원' [데이터클립]
  • “끝날때까지 끝난게 아니다”...성공하고 실패했던 단일화의 역사
  • 황금연휴에는 역시 '마블'…2대 블랙 위도우의 '썬더볼츠*' [시네마천국]
  • 기재부 분리될까…대선에 걸린 예산권
  • 삼성물산? 현대건설?…전국구 '대장 아파트' 가장 많이 지은 건설사는 어디?
  • 미얀마 내전 개입하는 중국…반군 억제기로 부상
  • 관세 리스크 탈출 ‘대형 고객사’ 애플에 기대 거는 국내 부품사들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5.02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7,249,000
    • -0.34%
    • 이더리움
    • 2,621,000
    • +0.34%
    • 비트코인 캐시
    • 513,500
    • -2.56%
    • 리플
    • 3,136
    • -0.32%
    • 솔라나
    • 208,500
    • -1.18%
    • 에이다
    • 991
    • -1%
    • 이오스
    • 1,018
    • -1.74%
    • 트론
    • 356
    • +0%
    • 스텔라루멘
    • 385
    • -0.77%
    • 비트코인에스브이
    • 52,550
    • -2.14%
    • 체인링크
    • 20,130
    • -2.23%
    • 샌드박스
    • 400
    • -4.7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