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복현 금감원장, 카드·캐피탈 CEO 만나 "서민대출 축소 자제" 당부

입력 2023-01-17 10:3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카드·캐피탈 CEO들을 만나 서민대출 축소를 자제해 공급을 원활히 해달라고 당부했다.

이 원장은 17일 오전 서울 플라자호텔에서 여신금융협회 주관으로 열리는 신년 조찬 간담회에 참석해 이 같이 말했다. 이날 회의에는 여신금융협회 회원사 대표 58명이 참석했다.

이 자리에서 이 원장은 카드·캐피탈 업계의 현안을 짚어보고, 서민경제 어려움에 대한 지원을 당부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소상공인·취약계층에 대한 금융 지원 등 서민경제 어려움에 대한 지원을 당부했다"고 말했다.

최근 카드·캐피탈 등 2금융권이 대출문을 속속 걸어 잠그고 있다. 기준금리 인상으로 조달금리가 올라 수익성이 크게 악화되며 '역마진' 우려가 커지고, 취약차주를 중심으로 부채 부실화 우려가 높아졌기 때문이다.

특히, 카드사들은 고객의 이용 한도 등 고객 서비스도 모두 줄이고 있어 역대급 실적에도 수익에만 치중하고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여신전문금융협회 등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30일 기준 카드사의 신용대출 상품 평균 금리는 삼성카드가 17.56%로 가장 높고 신한카드(16.86%), KB국민카드(14.47%), 우리카드(14.45), 비씨카드(12.99%), 하나카드(9.78%) 순이었다.

문제는 서민들의 '급전 창구'인 2금융권이 대출 공급이 막히면 저신용자와 서민들이 고금리 불법 사금융으로 내몰릴 가능성이 커진다는 점이다. 금융당국이 우려하는 것도 이 같은 상황이다.

금융위원회도 전날 열린 '서민금융 현황 점검회의'에서 "리스크관리나 수익성 악화를 이유로 신규대출을 중단하는 등 시장여건 변화에 따른 위험부담을 금융소비자에게 모두 전가하는 행태는 지양돼야 한다"며 "은행·저축은행 등 전 금융권에 중·저신용자 대출 공급 및 중금리대출의 올해 공급 계획을 차질없이 이행할 것"을 당부하기도 했다.

이 원장은 유동성 관리, 손실흡수 능력 관리에 대한 당부도 잊지 않았다. 향후 발생할 수 있는 손실에 대비해 충당금 추가 적립을 독려하는 등 위기 발생 시 대응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얘기다. 캐피털업계는 특히 부동산업에 대출 쏠림이 심각해 (자산 가격이 조정을 받으면) 위기에 빠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대중 관세 125%·나머지는 유예”…트럼프 상호관세 美·中 2파전 재편
  • 단독 NH농협ㆍ부산銀, 연내 ‘외국인 특화 창구’ 신설 [블루오션 외국인금융]
  • [종합] 헌재 “박성재, 내란 가담 증거 없다”…탄핵소추 전원일치 기각
  • 주식왕은 누구?…‘1조 클럽’ 총수들의 주식 성적표 [그래픽 스토리]
  • “술 먹기 좋지만 씁쓸하네”…물가상승·불황에 술값 경쟁 나선 자영업자들 [이슈크래커]
  • 트럼프 '관세 유예'에 美 증시 폭등했지만…씁쓸한 '뒷맛'? [이슈크래커]
  • 이낙연 등판 임박?…출마 시점은 [종합]
  • “야구 유니폼 못 구했다면 이곳으로”…외국인도 찾는 KBO스토어 논현점 [가보니]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10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0,704,000
    • +4.9%
    • 이더리움
    • 2,351,000
    • +7.01%
    • 비트코인 캐시
    • 434,300
    • +7.1%
    • 리플
    • 2,946
    • +8.39%
    • 솔라나
    • 168,200
    • +6.25%
    • 에이다
    • 915
    • +7.77%
    • 이오스
    • 974
    • -2.01%
    • 트론
    • 358
    • +4.07%
    • 스텔라루멘
    • 346
    • +5.49%
    • 비트코인에스브이
    • 41,010
    • +5.13%
    • 체인링크
    • 18,220
    • +7.87%
    • 샌드박스
    • 374
    • +5.0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