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동네 하천 건강 상태는?…전국 3035개 하천 수생태계 한눈에

입력 2023-01-19 12: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국립환경과학원, 하천 수생태계 건강성 지도 발간

▲수생태계 건강성 지도 예시 (사진제공=환경부)
▲수생태계 건강성 지도 예시 (사진제공=환경부)

전국 3035개 하천의 수생태계 건강 상태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는 지도가 나왔다.

환경부 소속 국립환경과학원은 최근 6년간 전국 주요 하천의 서식 생물과 수변환경에 대한 현황 및 건강성 평가 결과를 토대로 만든 '수생태계 건강성 지도'를 발간한다고 19일 밝혔다.

이 지도는 물환경정보시스템(water.nier.go.kr)을 통해 20일 공개된다.

환경과학원은 하천과 호소 등 공공수역에서 수생태계 건강성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부착돌말,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어류, 수변식생 등 주요 생물상을 3년 주기로 조사하고 있다.

이번 수생태계 건강성 지도에는 △한강 △낙동강 △금강 △영산강 △섬진강 등 전국 5대강 총 115개 중권역에 위치한 하천 3035개 지점의 수생태계 구성 생물과 서식‧수변환경의 현황 및 건강성 평가 자료들이 담겨 있다.

특히 우리나라 하천 수계별로 건강성 등급을 구분해 우리가 매일 산책하면서 보는 동네 하천의 건강 상태를 한눈에 알아볼 수 있다.

구체적으로 건강성 등급은 A(매우 좋음), B(좋음), C(보통), D(나쁨), E(매우 나쁨)로 구분되며 생물상별로 B등급 이상(강원 인제군 소재 인북천, 경북 청송·안동군 소재 길안천 등)은 건강성이 높다고 볼 수 있고, D등급 이하(부산 수영구 소재 수영강·전남 영암군 소재 영암천 등)는 건강성이 낮다고 볼 수 있다.

건강성 정보는 도표, 그림 등의 시각적 표현을 활용해 담아냈으며 하천별 멸종위기 야생생물, 고유종 등 특이 생물들의 출현 현황을 알아보기 쉽게 보여준다.

수생태계 건강성 지도는 국립환경과학원 홈페이지(nier.go.kr)와 물환경정보시스템을 통해 누구나 열람할 수 있다.

김용석 국립환경과학원 물환경연구부장은 "이번 수생태계 건강성 지도가 우리가 매일 접하는 하천의 건강 상태를 국민이 쉽게 이해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라며 "하천의 수생태계 건강성 현황 정보를 국민에게 지속해서 제공해 자연과 인간이 공존하는 건강한 수생태계 조성에 앞장설 계획"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뉴욕증시, 트럼프 관세 ‘90일 유예’에 폭등…나스닥 12.16%↑
  • 단독 NH농협ㆍ부산銀, 연내 ‘외국인 특화 창구’ 신설 [블루오션 외국인금융]
  • 전문가 진단 “보호무역주의는 ‘뉴노멀’…공급망 재편 필요” [공급망 전쟁의 서막④]
  • 상호관세 90일 유예한 트럼프 "사람들이 겁먹고 있길래…"
  • 중추신경 질환 잡아라…신약개발·마케팅 집중하는 기업들
  • 국제유가 60달러 붕괴ㆍ정제마진 바닥…정유업계 초비상
  • 국회 계단→이순신 장군 앞…대선 출마 선언 '장소', 왜 중요한가요? [이슈크래커]
  • 소비위축에 술도 안 마신다…식당 사장님들 '한숨' [데이터클립]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10 12:43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0,660,000
    • +6.68%
    • 이더리움
    • 2,382,000
    • +12.52%
    • 비트코인 캐시
    • 437,200
    • +9.57%
    • 리플
    • 2,944
    • +12.5%
    • 솔라나
    • 170,500
    • +10.36%
    • 에이다
    • 903
    • +9.45%
    • 이오스
    • 1,014
    • +2.84%
    • 트론
    • 352
    • +2.92%
    • 스텔라루멘
    • 347
    • +7.1%
    • 비트코인에스브이
    • 41,740
    • +9.12%
    • 체인링크
    • 18,110
    • +13.4%
    • 샌드박스
    • 375
    • +8.0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