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시가 경계선지능인이 시민의 한 사람으로서 행복한 서울살이를 할 수 있게 돕고자 ‘경계선지능인 평생교육 지원 종합계획’을 수립해 시행한다고 27일 밝혔다.
경계선지능인이란 지적장애에 해당하지는 않지만 평균지능에 도달하지 못하는 인지능력(IQ 71~84)으로 인해 지원과 보호가 필요한 자를 의미한다. 지난해 10월 기준 서울시 소재 경계선지능인의 수는 약 132만 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종합계획은 △경계선지능인 발굴·지원 체계 구축 △경계선지능인 맞춤형 평생교육 및 자립지원 기반 확충 △경계선지능인 연구 개발 기반 구축 △경계선지능인 지역사회 인식전환으로 총 4개 분야 15개 추진과제를 제시했다.
우선 경계선지능인이 기본적인 일상생활을 유지할 수 있도록 조기 발굴을 통해 발달단계에 필요한 성장 발달 지원 서비스를 제공한다. 일례로 심리적으로 어려움을 겪는 경계선지능인과 부모에게는 전문심리상담사와의 일대일 상담 지원을 실시한다.
관련 뉴스
사회적 편견 등으로 소외된 경계선지능인이 지역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융합될 수 있도록 사회성 훈련, 정서 지원, 취업 및 자립 지원 등 평생교육 프로그램과 자조 모임 등도 지원한다.
아울러 경계선지능인 현황 및 실태를 파악해 교육 매뉴얼을 개발하고, 경계선지능 관련 전문가를 양성해 경계선지능인이 적절한 교육을 받지 못해 발달 장애로 하락하는 것을 막을 계획이다.
시는 경계선지능인에 대한 사회적 편견을 해소하기 위해 관련 토론회 및 캠페인 진행과 온·오프라인 홍보 등도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이회승 서울시 평생교육국장은 “경계선지능인은 조기에 발굴해 적절한 교육과 훈련을 한다면 충분히 사회의 훌륭한 일원이 될 수 있다”며 “서울의 경계선지능인이 행복한 시민으로 성장하고 살아갈 수 있도록 서울시는 체계적인 연구와 지원을 지속할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