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증시, 금융불안 완화에 상승...일본증시는 휴장

입력 2023-03-21 16:55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일본증시, ‘춘분의 날’ 맞아 휴장
UBS, ‘경영위기’ CS 인수에 금융불안 다소 완화
아시아 증시, 간밤 뉴욕증시 상승세 이어받아

▲중국증시 상하이종합지수 최근 5거래일간 추이. 21일 종가 3255.65. 출처 마켓워치
▲중국증시 상하이종합지수 최근 5거래일간 추이. 21일 종가 3255.65. 출처 마켓워치

아시아증시는 21일(현지시간) 상승했다. 경영위기설이 불거졌던 크레디트스위스(CS)가 UBS에 인수되며 금융 불안이 다소 완화한 영향이다.

중국증시 상하이종합지수는 전장 대비 20.74포인트(0.64%) 오른 3255.65에, 대만증시 가권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93.48포인트(0.61%) 상승한 1만5513.45에 거래를 끝냈다.

홍콩증시 항셍지수는 한국시간으로 오후 4시 30분 현재 265.97포인트(1.40%) 뛴 1만9266.68에, 싱가포르 ST지수는 34.46포인트(1.10%) 상승한 3174.22에, 인도 센섹스지수는 209.65포인트(0.36%) 오른 5만7838.60에 거래되고 있다.

이날 일본증시는 ‘춘분의 날’ 공휴일을 맞아 휴장했다.

아시아증시는 간밤 뉴욕증시가 금융위기 불안 해소에 따른 안도 랠리로 거래를 마감한 영향을 받아 상승세를 보였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와 유럽중앙은행(ECB) 등 주요 6개국 중앙은행이 19일 금융시스템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달러 유동성 공급을 강화하겠다고 발표한 것도 투자심리에 긍정적으로 작용하는 요인이 됐다고 AP통신은 분석했다.

다만 연준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 결과를 앞두고 관망세가 형성되면서 상승 폭은 다소 제한됐다. 연준은 이날부터 이틀간 FOMC 정례회의를 열고 통화정책을 결정한다. 상당수 시장 참여자들은 연준이 이번 FOMC에서 기준금리 인상을 강행할 것으로 전망하면서도 인상폭이 0.5%포인트(p) 인상할 것이라는 종전의 예상과 달리 0.25%p 인상할 것으로 점치고 있다.

연준이 아예 이번에 금리 인상을 일시 중단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ACY증권의 클리퍼드 베넷은 AP통신에 “연준이 은행 위기에 직면한 상황에서 정말 계속 금리 인상을 할 수 있을까”라고 반문하면서 “추가 금리 인상은 은행 시스템의 시스템이 받는 스트레스를 키울 뿐”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전직 대통령 예우 대부분 박탈 [尹탄핵 인용]
  • 韓 권한대행 "美 상호관세 대응 등 시급한 현안 해결"
  • 챗GPT 이미지 생성도구 '완전 비활성화 상태'…"이용불가 메시지"
  • 발란 기업회생 개시…머스트잇도 ‘매각설 논란’
  • 홈플러스, 현금 확보 계획 요원...근본적 대안 있나[홈플러스 사태 한달]
  • 펫보험 개편에 소비자도 설계사도 '울상'…시장 위축 우려
  • 의대생들 “정부, 과오 인정하고 의료개악 해결해야” [尹탄핵 인용]
  • 격분한 尹 지지자, 곤봉으로 경찰버스 유리 파손…현행범으로 체포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04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1,542,000
    • -1.45%
    • 이더리움
    • 2,634,000
    • -1.09%
    • 비트코인 캐시
    • 445,000
    • -0.63%
    • 리플
    • 3,018
    • +0.6%
    • 솔라나
    • 169,900
    • -1.45%
    • 에이다
    • 941
    • -1.16%
    • 이오스
    • 1,183
    • +0.51%
    • 트론
    • 353
    • +2.62%
    • 스텔라루멘
    • 379
    • -0.52%
    • 비트코인에스브이
    • 44,520
    • -0.45%
    • 체인링크
    • 18,490
    • -2.38%
    • 샌드박스
    • 383
    • +1.3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