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ㆍ일본ㆍ대만 증시, 연초 대비 하락유럽ㆍ 중화권은 상대적으로 선방항셍 18% 상승…나스닥 7.9% 내려
도널드 트럼프 47대 미국 대통령이 취임한 이후 세계 경제는 격변의 시기에 접어들었다. 무역에서 시작해 안보 지형까지 격변하면서 주요국 증시는 요동쳤다.
미국과 유럽ㆍ아시아 주요 증시는 연초 대비 희비가 엇갈렸다. 미국증시는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전
EU와 무역전쟁 불안감 촉발에 시장 변동성 커져중국, 경기부양책 기대감에 낙폭 제한
아시아증시는 28일 일제히 하락했다. 전날 전해진 미국 자동차 관세 여파가 본격적으로 시장에 영향을 미쳤다. 일본증시는 2% 가까이 하락해 이틀 연속 약세였고 중국증시는 하루 만에 반락했다.
일본증시 닛케이225 평균 주가(닛케이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679.64엔(
수입차 겨냥한 관세…빅3 압박머스크 조차 “부담 적지 않아”현대차그룹 ‘백악관 효과’ 증발GM의 46%는 해외 생산 물량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모든 수입차와 자동차 부품에 25%의 관세를 부과한다고 밝히면서 미국 뉴욕증시가 이틀째 하락했다. 인플레이션과 경기 둔화에 대한 우려가 투자심리를 위축시켰다. 미국 자동차 산업을 보고하겠다는 명목이었지만
트럼프 자동차 관세 여파 제한적중국 당국 반도체 관련 규제 강화반도체는 대만, 車는 한국에 영향중국ㆍ홍콩 주요증시 오히려 상승
27일 아시아 증시는 미국과 중국이 던진 규제 탓에 혼조세를 보였다. 자동차 관세 여파를 직접 받을 일본 증시는 하락 마감했다. 상대적으로 이 여파를 덜 받는 중화권 증시는 강보합세였다.
대만을 제외한 아시아 주요 지수가
BOJ "최근 인플레이션 일시 현상"美 모건스탠리 "중국 주식 낙관적"
26일 아시아 증시는 보합권에 머물렀다. 다음주로 예정된 미국발 관세 발표를 앞두고 관망세가 두드러졌고, 거래 자체도 위축됐다.
중국 증시의 경우 모건스탠리가 낙관적인 전망을 했으나 시장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아시아 주요 증시 모두 미국 관세 정책에 주목 중인 셈이다.
亞 주식 하락하며 금값 상승1Q 상승률 1위 항셍은 하락
25일 아시아 증시는 강보합권에 머물렀다. 주요 글로벌 증시 가운데 올해 1분기 가장 좋은 성적표를 낸 홍콩 항셍지수는 최근 급등세에 따른 차익 매물이 등장하면서 이날 2%대 내림세다.
내주 본격화할 미국발 관세 전쟁을 앞두고 주요 투자금이 안전자산인 금으로 옮겨가면서 거래량 자체가 감소세다.
닛케이 내재 변동성 3개월래 최고치관세전쟁 앞두고 중화권 증시 재평가
24일 아시아 증시는 보합권에 머물렀다. 중화권 기술주와 대장주를 중심으로 상승세를 이어간 반면, 중화학과 해운 종목 등은 다음 주로 닥쳐온 미국발 관세 폭풍에 대한 우려가 시장에 스며들었다.
로이터통신은 “은행가와 투자자문가들은 중국 정부의 주요 기술 기업에 대한 감시가 완화되고
21일 아시아 증시는 중화권을 중심으로 낙폭을 키웠다.
연방준비제도(Fedㆍ연준)가 기준금리를 동결하며 불확실성을 해소한 반면, 내달 2일부터 본격화할 미국발 무역 관세가 가장 크고 유일한 불확실성으로 남았다.
대표적인 안전 자산 가운데 하나인 금이 사상 최고치에 근접했고, 아시아 주식은 하락세를 이어갔다.
전날 휴장했던 일본증시 닛케이225는 전
일본증시 춘분 맞아 휴장연준, 추가 금리 인하 신호1Q말 앞두고 차익 매물↑
20일 아시아 증시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ㆍ연준)가 올해 두 차례 금리를 인하할 수 있다는 신호를 던지면서 투자 심리를 부추겼다. 기준금리 동결이 예상됐던 만큼 시장의 반응은 크지 않았으나 장기 전망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면서 아시아 증시 거래량이 증가했다.
반면 중국 주
연준 기준금리 동결 전망 속 보합세트럼프 시대, 주요국 금리 영향력↓
19일 아시아 증시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ㆍ연준) 기준금리 발표를 앞두고 약보합권에 머물렀다.
기준금리 현행 유지 가능성이 큰 가운데 주요 기술주를 중심으로 낙관과 비관이 엇갈렸다. 뉴욕증시에서 나스닥이 위축된 가운데 아시아 주요국 기술 종목도 혼조세 속에 낙폭을 키웠다. 대만
HSBC, 中 GDP 전망치 상향 재조정中통계국 1~2월 소매판매 등 호재 항셍, 장중 한때 3년 만에 최고치
18일 아시아 증시는 중국발 훈풍 속에 탄탄한 상승세를 기록 중이다. 밤사이 뉴욕증시에는 저가 매수세를 중심으로 소비회복에 대한 기대감이 유입됐다.
홍콩증시 항셍지수는 장중 한때 3년 사이 최고치를 기록하기도 했다. 1년 전과 비교하면 전날까
중국 주요 경제지표 전망치 상회美금리 발표 앞두고 투심 제한적
17일 아시아 증시가 강보합권에 머물렀다. 내달 2일 미국의 대대적인 상호관세 발표에 앞서 화요일(이하 한국시간)과 수요일에 각각 발표될 미국 2월 소매판매지수와 원유재고 등을 관망하며 거래량 자체가 위축됐다. ㅇ
이밖에 목요일로 예정된 연방준비제도(Fedㆍ연준)의 금리 발표에 대한 불확
아시아증시가 14일 대체로 상승했다.
일본증시 닛케이225지수는 전장보다 263.07포인트(0.72%) 오른 3만7053.10엔에, 토픽스(TOPIX)지수는 전장 대비 17.49포인트(0.65%) 상승한 2715.85에 장을 마감했다.
중국증시 상하이종합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58.00포인트(1.73%) 뛴 3416.72에, 대만증시 가권지수는 6.
아시아증시가 13일 대체로 약세를 보였다.
일본증시 닛케이225지수는 전장보다 29.06포인트(0.08%) 밀린 3만6790.03엔에, 토픽스지수는 3.45포인트(0.13%) 오른 2698.336에 각각 장을 마감했다.
중국증시 상하이종합지수는 전장 대비 13.20포인트(0.39%) 내린 3358.73에, 대만증시 가권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316.6
항셍지수 4거래일 연속 내림세갈팡질팡 美 무역정책에 혼조
12일 아시아 증시는 미국 무역정책의 불확실성 속에서 혼조 출발했다. 주요 지수 모두 뚜렷한 호재와 악재 없이 미국 관세정책의 번복 때마다 지수는 등락을 반복했다.
이날 일본증시 닛케이225는 전 거래일 대비 25.98포인트(0.07%) 오른 3만6819.09에 장을 마쳤다. 기술주 중심의 토픽
나스닥 2년 반 만에 최대 낙폭뉴욕증시 하락 여파 亞증시로
11일 아시아 증시는 급락 출발 후 낙폭을 회복했다. 밤사이 뉴욕증시 여파가 컸다. 전날 나스닥 지수가 2년 반 만에 최대 낙폭을 기록하는 등 트럼프 행정부의 경제 충격에 대한 우려를 드러냈다.
이날 일본증시 닛케이225는 전 거래일 대비 235.16포인트(0.64%) 내린 3만6793.11에
밤사이 뉴욕증시 기술주 중심 급락닛케이225 지수 올해 들어 8.4%↓미국 정치와 국제 분쟁 등에 휘둘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관세정책이 미국의 경기침체를 불러올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인 가운데 11일 일본 증시가 급락했다. 일본 언론들은 이날 주가 하락이 △미국경제 동향 △지정학적 리스크 △일본 국내 금리 등이 복합적으로 맞물렸기 때문이라고 분
엔화 가치가 상승하면서 일본 증시에 엔화로 투자했던 투자자들의 계좌가 붉게 물들고 있다. 엔화로 미국 대표 지수에 투자하는 상품을 택한 투자자들은 미국 증시 하락에 손실 상태에 놓였다.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이 불확실성으로 작용하는 만큼, 당분간 미국 증시에서 일본 증시로 자금이 유입되는 '달러 캐리 트레이드'가 확대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달러 약세ㆍ엔화 강세와 맞물려가권지수 포함 중화권 증시 약세
10일 아시아증시는 일본의 경상수지 적자, 중국의 디플레이션 우려 등이 이어지면서 혼조세를 보였다.
마켓워치 등에 따르면 일본증시 닛케이225는 전 거래일 대비 141.10포인트(0.38%) 오른 3만7028.27에 장을 마쳤다. 기술주 중심의 토픽스는 반대로 하락했다. 종가는 7.83포인
트럼프 “엔화 유도” 발언 영향에 관세위협도금리 인상 전망에 위험회피 매도세 확산중국증시, 시장 전망 밑돈 1~2월 수출에 하락
아시아증시는 7일 일제히 하락했다. 일본증시는 미국의 관세 위협과 일본은행의 금리 인상 전망에 급락했고, 중국증시는 시장 예상을 밑돈 1~2월 수출 성적에 떨어졌다.
일본증시 닛케이225 평균 주가(닛케이지수)는 전 거래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