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 마약 투약자 3억 명 육박…10년 새 23% 증가

입력 2023-06-26 14:16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2021년 기준 2억9600만 명
마약으로 인한 장애는 45% 증가
“합성 마약이 시장 근본적으로 뒤바꿔”

▲2021년 전 세계 마약 투약 현황. 투약자 수 2억9600만 명. 10년 새 23% 증가. 출처 세계 마약 보고서 2023
▲2021년 전 세계 마약 투약 현황. 투약자 수 2억9600만 명. 10년 새 23% 증가. 출처 세계 마약 보고서 2023
전 세계 마약 투약자가 3억 명에 육박한 것으로 나타났다.

25일(현지시간) BBC방송에 따르면 유엔마약범죄사무소(UNODC)는 ‘세계 마약 보고서 2023’을 발간하고 2021년 전 세계 마약 투약자가 2억9600만 명에 달했다고 밝혔다.

이는 10년 새 23% 증가한 수치로, 같은 기간 마약 투약으로 장애를 입은 인구는 45% 늘어난 3950만 명으로 집계됐다.

반면 약물 장애 치료를 받은 인구는 5명 중 1명꼴에 불과했다. 대표적으로 브라질과 콜롬비아, 페루의 삼중 국경 지대에 사는 사람들은 마약과 가까우면서도 의료 지원은 받기 힘든 탓에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전해진다.

가장 많이 이용된 마약은 대마초로, 2억1900만 명이 투약했다. 그 밖에 △오피오드 6000만 명 △암페타민 3600만 명 △코카인 2200만 명 △엑스터시 2000만 명 순이다.

UNODC는 “합성 마약의 저렴하고 쉽고 빠른 생산은 불법 약물 시장을 근본적으로 뒤바꿨다”며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이 불법 제조되는 매스암페타민(필로폰)을 다루는 범죄자들은 새로운 합성 방식 등을 통해 당국의 법 집행과 규제책을 회피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마약 공급이 기록적인 수준으로 계속 늘고 밀매 네트워크는 갈수록 민첩해지고 있어 의료 서비스 제공과 법 집행을 더 복잡하게 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또 “아마존의 마약 경제는 불법 벌목과 불법 채광, 야생동물 밀매 등 추가 범죄 활동으로 이어져 환경을 훼손하고 있다”며 “환경단체는 종종 인신매매 단체와 무장단체의 표적이 되고 있다”고 짚었다.

‘좀비 마약’으로 불리는 펜타닐의 확산도 경계했다. UNODC는 “펜타닐의 경우 북미 지역의 오피오이드 시장을 크게 변화시켰고 그 결과는 끔찍했다”며 “2021년 북미에서 발생한 9만 건의 오피오이드 과다 복용 사망 사례 대부분은 불법 제조된 펜타닐과 관련된다”고 설명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기지개 켜는 석유화학, 1분기 흑자 전환 보인다
  • 챔피언스리그 4강 대진표 반 채워졌다…진출팀은?
  • 삼성전자, 14억 인도시장 공략... AI 기반 원격 AS 도입
  • 인천 부평역 앞 횡단보도 땅꺼짐…차량 통제 중
  • 단독 금감원 1332 '원스톱 연결 시스템' 도입…서민금융 상담 쉬워진다
  • 美 FDA, 동물실험 폐지 수순…‘오가노이드·장기칩’ 뜬다
  • 비교 대상이 오타니?…“우리도 이정후 있다” [해시태그]
  • 기관이 주도하는 폭력의 시대…개미들은 어떻게 살아남아야 하나 [블록렌즈]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1,870,000
    • -1.2%
    • 이더리움
    • 2,319,000
    • -2.28%
    • 비트코인 캐시
    • 466,500
    • -1.4%
    • 리플
    • 3,032
    • -2.48%
    • 솔라나
    • 184,100
    • -2.39%
    • 에이다
    • 893
    • -3.77%
    • 이오스
    • 874
    • -1.69%
    • 트론
    • 369
    • +0.54%
    • 스텔라루멘
    • 343
    • -2.28%
    • 비트코인에스브이
    • 40,350
    • -1.47%
    • 체인링크
    • 18,020
    • -2.12%
    • 샌드박스
    • 361
    • -3.4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