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량진역에서 한강까지 걸어서 8분이면 가는 길 생긴다

입력 2023-07-27 09:57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서울시, 노량진역 일대 여의도-용산 연결 수변복합거점 재편

▲한강철교 남단 저이용부지 일대 조감도 (사진제공=서울시)
▲한강철교 남단 저이용부지 일대 조감도 (사진제공=서울시)

서울 지하철 1호선 노량진역 일대가 여의도와 용산을 연결하는 새로운 수변복합거점으로 재편된다. 이에 따라 노량진역에서 한강공원까지 8분이면 갈 수 있는 도로가 신설된다.

27일 서울시는 전날 제12차 도시·건축공동위원회에서 한강철교 남단 저이용부지 일대 지구단위 계획 지정 및 계획 결정(안)을 수정 가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심의 내용은 옛 노량진수산시장 수협 부지를 포함한 저 이용부지를 새로운 수변복합거점으로 만드는 것이다. 노량진역사 특별계획구역의 높이를 완화해 경제거점으로 조성하는 내용도 포함돼 있다.

대상지는 한강과 여의도에 인접한 역세권 부지(17만1829.8㎡)이나 경부선 철도와 올림픽대로가 가로지르고 있어 교통 접근성이 매우 열악하고 노량진 수산시장 이전 이후 축구장 등으로 이용되고 있어 선제적이고 통합적인 관리가 필요한 상황이다.

현재 대상지에서 여의도까지 직선거리는 300m지만 보행으로 접근할 수 없고 차량으로 약 3km를 이동해야 한다. 이런 접근성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대상지에서 여의도와 한강공원으로 직접 연결하는 도로를 신설했다.

도로가 신설되면 노량진역에서 여의도까지 이동 거리는 약 650m로 단축되고 노량진역에서 한강공원까지는 걸어서 8분 이내에 도달할 수 있다.

또 서울시는 옛 노량진수산시장 부지를 포함한 3개의 대규모 부지를 각각 특별계획구역으로 지정해 전략적 개발 방향을 제시했다.

수협중앙회가 소유하고 있는 옛 노량진수산시장 부지는 사전협상대상지로 선정해 민간과 공공이 협상을 통해 여의도 연결도로 신설 등 기반시설을 확충한다. 용도지역은 일반상업지역까지 상향해 여의도·영등포 도심과 연계한 국제적 수준의 업무, 도심형 주거 등 복합 기능으로 고밀도 개발한다.

수도자재관리센터 부지는 공공부지로서 기반시설은 지하화하고 지상에서는 상업, 주거 기능을 복합화할 수 있도록 준주거지역으로 용도지역 상향계획을 제시했다. 수변 감성을 담은 문화 기능을 도입해 한강 변의 매력을 느낄 수 있는 명소로 조성할 방침이다.

노량진역 일대는 철도 상부로 수협 등 인근 부지와 보행이 연결될 수 있도록 인공지반을 조성하는 계획을 담았다. 용도지역은 준주거지역으로 상향해 상업 및 업무 등 기능을 도입하고 철도복합역사 사업을 통해 지역경제의 활력 거점으로 조성되도록 유도할 계획이다.

계획안이 도시건축공동위원회 심의를 통과함에 따라 향후 2주간 주민열람공고를 거쳐 하반기 중 최종 계획안을 결정 고시할 예정이다.

홍선기 서울시 미래공간기획관은 "대규모 유휴부지에 대한 선제적인 지구단위계획 결정으로 노량진과 여의도의 연결체계를 구축하고 수변 감성을 담은 특화된 도시 공간 개발을 통해 침체된 지역을 활성화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미국발 상호관세 충격에 코스피·코스닥 5%대 폭락
  • "테슬라는 어떡하라고?"…머스크, 트럼프에 반기 든 이유는 [이슈크래커]
  • 산불 재난 인니 영웅…은혜는 꼭 갚는 한국인 [해시태그]
  • 단독 대상웰라이프, 홈플러스 기업회생 한 달 만에 철수...건기식 매대도 빨간불
  • '고정이하자산' 5조 육박…4곳은 'NPL비율' 70% 넘었다[선 넘은 '신탁사 부실'上]①
  • ‘피의자 윤석열’ 동시다발 수사 밀려온다…재구속 가능성은
  • 국내 or 해외?…5월 연휴 가족여행, 어디로 떠날까 [데이터클립]
  • “탄핵 이슈 소멸, 오로지 美 영향” 환율, 33.7원 급등…“1500원 가능성은 열어야”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07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16,125,000
    • -4.49%
    • 이더리움
    • 2,298,000
    • -10.44%
    • 비트코인 캐시
    • 405,100
    • -6.98%
    • 리플
    • 2,784
    • -8.78%
    • 솔라나
    • 155,900
    • -7.86%
    • 에이다
    • 848
    • -8.03%
    • 이오스
    • 1,079
    • -4%
    • 트론
    • 339
    • -4.24%
    • 스텔라루멘
    • 341
    • -8.33%
    • 비트코인에스브이
    • 39,970
    • -6.28%
    • 체인링크
    • 16,740
    • -6.79%
    • 샌드박스
    • 356
    • -3.5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