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 중국 제품이 최고가 된 시대

입력 2023-08-09 06: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정치경제부 김우람 기자

생활가전 시장은 국내외 대기업이 시장을 과점하는 형태다. 냉장고가 세상에 나온 지 100년도 넘었다고 하니 긴 시간 생존의 법칙에 따라 안정화된 셈이다. 그런데 청소기 시장에 새로운 흐름이 나타나고 있다.

최근 중국의 한 로봇청소기 업체가 내놓은 신제품은 출시 초기 품절사태가 빚어지면서 230만 원까지 치솟았다. 수급이 안정되면서 180만 원대까지 하락했지만, 여전히 인기가 높다. 인기를 증명이라도 하듯 주변에서 이 회사 제품을 산 이들이 늘어나고 있다. 자연스레 로봇청소기를 추천해달라고 물으면 이 신제품을 사라고 한다.

로봇청소기 시장은 ‘자동 물 세척’ 기능을 담은 중국 브랜드들이 최고라는 평가를 받는다. 물걸레 방식은 회사마다 차이는 있어도, 대체로 기능적으로 훌륭한 수준이다. 아직도 중국 제품이라면 손사래 치는 이들도 있지만, 로봇청소기만큼은 걱정 없이 추천할 수 있는 수준까지 올랐다는 걸 방증한다.

영국의 유명 무선청소기 업체가 물걸레 기능이 있는 신제품을 선보였는데, 이미 소비자들은 로봇이 처음부터 끝까지 해주는 데 익숙해지고 있다. 일주일에 두세 번 물통만 관리해주는 것과 직접 집안을 돌아다니며 청소하는 것은 하늘과 땅 차이다.

빠른 추세 변화에 로봇청소기 시장은 중국제품이 최상급, 우리나라 중소기업 브랜드가 그다음으로 자리 잡았다. 오히려 대기업 제품들이 기를 펴지 못한다. 이런 현상이 흔치 않지만, 시장에 작은 기업들이 성장할 수 있는 빈틈이 있다는 걸 보여준다. ‘니치 마켓(틈새시장)’은 중소형 기업들의 성장 발판이 되기도 한다.

로봇청소기의 구조를 보면 엄청난 기술이 사용되는 건 아니다. 가전 제조기술이야 평준화됐을 테고, 대량 생산 비결이 좋은 대기업이 유리할 수도 있다. 자동으로 집 구조를 파악하고 장애물을 피하면서 경로를 만드는 자율주행 기능도 공개된 연구 선례가 적지 않다.

결국 누가 먼저 시장에 참가해 ‘로봇청소기 하면 ○○○’ 식으로 소비자에게 브랜드를 각인시키느냐가 관건이다. 대기업은 항상 새 시장의 흐름을 파악해야 한다. 중소기업도 이런 기회가 언제고 올 수 있다는 믿음과 준비로 성장 발판을 마련해야 할 때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대중 관세 125%·나머지는 유예”…트럼프 상호관세 美·中 2파전 재편
  • 단독 NH농협ㆍ부산銀, 연내 ‘외국인 특화 창구’ 신설 [블루오션 외국인금융]
  • [종합] 헌재 “박성재, 내란 가담 증거 없다”…탄핵소추 전원일치 기각
  • 주식왕은 누구?…‘1조 클럽’ 총수들의 주식 성적표 [그래픽 스토리]
  • “술 먹기 좋지만 씁쓸하네”…물가상승·불황에 술값 경쟁 나선 자영업자들 [이슈크래커]
  • 트럼프 '관세 유예'에 美 증시 폭등했지만…씁쓸한 '뒷맛'? [이슈크래커]
  • 이낙연 등판 임박?…출마 시점은 [종합]
  • “야구 유니폼 못 구했다면 이곳으로”…외국인도 찾는 KBO스토어 논현점 [가보니]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10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17,785,000
    • -2.68%
    • 이더리움
    • 2,235,000
    • -5.34%
    • 비트코인 캐시
    • 423,000
    • -1.63%
    • 리플
    • 2,897
    • -4.23%
    • 솔라나
    • 163,100
    • -6.26%
    • 에이다
    • 881
    • -4.45%
    • 이오스
    • 916
    • -12.84%
    • 트론
    • 351
    • +0.57%
    • 스텔라루멘
    • 335
    • -5.9%
    • 비트코인에스브이
    • 40,190
    • -3.04%
    • 체인링크
    • 17,670
    • -2.75%
    • 샌드박스
    • 375
    • -1.0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