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흥진 금융연구원 연구위원은 7일 오후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열린 ‘2023년 금융동향과 2024년 전망 세미나’에서 “신용위험이 커지면서 대출공급이 축소되고, 금리가 여전히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으로 유지되면서 대출 수요가 높지 않아 성장세 둔화가 지속될 것”이라면서 “이자이익이 정체하는 가운데 대손비용은 증가하면서 당기순이익은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고 내다봤다.
이에 자금조달 변동성 확대와 자산건전성 악화 등의 리스크에 대비하고 성장세 둔화에 대응하기 위한 방안을 적극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그는 “디지털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핀테크 기업과의 협업과 관련 투자를 활성화해야 한다. 디지털 채널에 적합한 고객 맞춤형 금융서비스를 개발해 소비자 접근성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연구원은 상호금융, 저축은행 등 비은행 예금취급기관의 내년 성장성과 수익성도 제한될 것으로 예상했다. 또한, 중·저신용자 신용공급에 대한 사회적 요구 증대에 대비할 필요가 있다고 봤다.
박준태 연구위원은 “상호금융권 내 규제차익 해소, 금융소비자보호 강화 및 내부통제 강화 등의 정책환경 변화 가능성에 대비한 경영전략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면서 “저축은행은 서민금융 수요에 부응하면서도 고위험자산의 과도한 확대를 지양하는 균형 잡힌 자산포트폴리오 구성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여신전문금융업권은 고금리 환경의 장기화에 따라 올해에 이어 수익성이 제한되고 건전성 악화가 지속될 전망이다. 오태록 연구위원은 “고금리로 인한 영업마진 축소와 차주 상환부담 증가에 따른 자산건전성 악화에 대비해야 한다”면서 “조달구조가 단기화됨에 따라 비우량사를 중심으로 유동성 관리에도 유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보험산업의 성장성은 신규수요 축소 및 대내외 불확실성 지속 등으로 둔화할 것으로 내다봤다. 한상용 연구위원은 “보험산업의 수익성은 보험 포트폴리오 개선과 투자영업손익 변동성 확대 등이 혼재하며 유지 또는 소폭 개선될 것”이라면서도 “건전성은 금리민감도 완화 및 CSM 산출기준 강화 등으로 유지 또는 소폭 하락할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이어 상대적으로 자본력 등이 취약한 중소형 보험사의 경우 선제적·적극적 대비가 요구된다고 주장했다. 신계약률, 유지율, 손해율 등 개별 기능별 목표 설정을 통한 성장 극대화를 추구한 IFRS4에 비해 IFRS17에서는 최적 CSM 창출을 위한 개별 기능의 유기적 연결 및 전략 관리가 핵심 목표이기 때문에 보험사들은 이에 부합하는 새로운 전략으로 전환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