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모아주택 통합심의 기간 최대 6개월 단축

입력 2023-11-19 11:15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오세훈 서울시장이 9월 4일 오후 강서구 화곡동 모아타운 추진 현장을 찾아 주민들에게 모아타운 제도의 취지를 설명하고 있다. (사진제공=서울시)
▲오세훈 서울시장이 9월 4일 오후 강서구 화곡동 모아타운 추진 현장을 찾아 주민들에게 모아타운 제도의 취지를 설명하고 있다. (사진제공=서울시)

서울시는 모아주택·모아타운 활성화를 위해 통합심의 기능을 기존 건축·도시계획 분야뿐 아니라 경관·교통·재해·교육환경 분야까지 확대 운영한다고 17일 밝혔다. 이를 통해 사업 기간이 3~6개월 이상 단축될 전망이다.

소규모주택정비사업 방식으로 추진되는 모아주택의 규모가 점차 증가하면서 사업시행인가 전에 받아야 하는 건축, 도시계획분야 위원회에서 경관, 교통, 재해 등 분야 위원회로 확대되면서 각각 위원회 심의를 받을 경우 사업지연이 불가피했다.

서울시는 이를 해소하기 위해 건축·도시계획·경관·교통·재해·교육환경을 한 번에 묶어 심의할 수 있는 소규모주택정비 통합심의위원회 구성·운영계획을 수립했다.

소규모주택정비 통합심의위원회는 공무원인 당연직 3명을 포함해 각 위원회로부터 추천받은 위원 35명 등 총 38명으로 구성할 계획이다. 임기는 위촉된 날부터 2년이며 한차례 연임할 수 있다.

규모가 작은 사업장은 5~10명 이하의 위원으로 구성된 소위원회로 운영해 신속하게 심의가 진행될 수 있도록 했다.

또 심의 절차 간소화를 위해 소규모주택정비사업 시행계획(안) 전문가 사전자문 의무화를 전면폐지한다. 이를 통해 추가로 2개월 이상이 단축될 것으로 보인다.

한병용 서울시 주택정책실장은 "통합심의위원회 운영은 모아 주택사업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2026년까지 목표한 3만 가구 공급에 차질이 없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고 주거안정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작년 1월 서울시 모아주택 정책 발표 이후 현재까지 총 105곳, 1만6626가구가 조합설립·사업인가 돼 사업이 활발히 진행 중이다. 서울시는 이런 추세라면 2026년 3만 가구 공급을 초과 달성할 것으로 보고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사람인 줄 알았는데"…내가 선택한 남자친구가 AI라고? [이슈크래커]
  • 트럼프 “반도체 관세율 곧 발표, 일부 유연성 있을 것...애플도”
  • 언니 푸바오처럼…루이바오·후이바오도 독립할 준비 [해시태그]
  • 파생상품 ETF 출시한 리플…트럼프 밈코인은 80% 급락 [글로벌 코인마켓]
  • 尹 "평화적 대국민 메시지" 혐의 전면 부인..."국민참여재판 원치 않아"
  • 이빨 빠진 타이거즈, 공포의 4연전 어떻게 넘기나…산 넘어 산 [주간 KBO 전망대]
  • 제로 아닌 탄산음료, 한 캔에 각설탕 11개 들어간다 [데이터클립]
  • '최강야구' 아닌 '불꽃야구'로…방송 플랫폼은?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14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3,373,000
    • +0.53%
    • 이더리움
    • 2,426,000
    • +4.03%
    • 비트코인 캐시
    • 492,000
    • -3.34%
    • 리플
    • 3,128
    • -1.2%
    • 솔라나
    • 194,800
    • +3.4%
    • 에이다
    • 946
    • +0.11%
    • 이오스
    • 904
    • -1.85%
    • 트론
    • 371
    • +3.06%
    • 스텔라루멘
    • 357
    • -0.28%
    • 비트코인에스브이
    • 41,320
    • -2.41%
    • 체인링크
    • 19,100
    • +2.41%
    • 샌드박스
    • 385
    • +0.2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