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볼빙 잔액 7.5조... 금감원, 카드사 리스크 관리

입력 2023-11-29 08:43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리볼빙 잔액 증가·연체율 상승한 카드사 대상

최근 고금리 상품인 카드사 결제성 리볼빙 서비스의 잔액이 7조5000억 원으로 불어나면서 금융당국이 카드사를 상대로 리스크 관리에 나선다.

29일 금융당국에 따르면 금융감독원은 다음 달 초 카드사들을 상대로 리볼빙 관련 리스크 관리를 강화하라고 지도한다.

리볼빙은 일시불로 물건을 산 뒤 카드 대금의 일부만 먼저 결제하고 나머지는 나중에 갚는 서비스다. 이자가 법정 최고금리(연 20%)에 육박하고, 대출 기간도 짧아 부실로 이어질 수 있는 위험이 높다.

저축은행, 대부업체가 업황 악화로 대출을 축소하면서 올해 들어 카드사의 카드론 잔액과 함께 리볼빙 잔액은 계속 오르는 추세다.

금감원은 올해 10월까지 리볼빙 잔액, 이용 회원 수, 이월 잔액, 연체율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리스크 관리에 들어갈 계획이다. 또 리볼빙 잔액이 많이 늘거나 연체율이 카드업계 평균보다 높은 카드사 3∼4곳을 위주로 리볼빙 서비스를 리스크 관리 범위 내에서 적정하게 운영하라고 주문할 계획이다.

과도한 금리 마케팅을 벌이는 등 공격적으로 리볼빙을 권유하는 영업 행태를 자제하라는 내용도 지도에 포함할 것으로 보인다.

여신금융협회에 따르면 10월 카드사들의 결제성 리볼빙 이월잔액은 7조5832억 원으로 전월(7조6125억 원) 대비 소폭 줄었다. 하지만, 작년 같은 달(7조1634억 원)이나 2021년 연말(6조1448억 원) 대비해서는 크게 늘어났다.

1년 새 카드사별 리볼빙 잔액이 많이 늘어난 곳은 KB국민카드(1조3544억 원→1조5165억 원), 신한카드(1조4448억 원→1조6068억 원), 삼성카드(1조1857억 원→1조3463억 원), 롯데카드(9403억 원→1조956억 원) 등이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뉴욕증시, 트럼프 관세 ‘90일 유예’에 폭등…나스닥 12.16%↑
  • 단독 NH농협ㆍ부산銀, 연내 ‘외국인 특화 창구’ 신설 [블루오션 외국인금융]
  • 전문가 진단 “보호무역주의는 ‘뉴노멀’…공급망 재편 필요” [공급망 전쟁의 서막④]
  • 상호관세 90일 유예한 트럼프 "사람들이 겁먹고 있길래…"
  • 중추신경 질환 잡아라…신약개발·마케팅 집중하는 기업들
  • 국제유가 60달러 붕괴ㆍ정제마진 바닥…정유업계 초비상
  • 국회 계단→이순신 장군 앞…대선 출마 선언 '장소', 왜 중요한가요? [이슈크래커]
  • 소비위축에 술도 안 마신다…식당 사장님들 '한숨' [데이터클립]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10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1,275,000
    • +4.62%
    • 이더리움
    • 2,384,000
    • +8.22%
    • 비트코인 캐시
    • 442,700
    • +7.22%
    • 리플
    • 2,956
    • +8.76%
    • 솔라나
    • 172,800
    • +8.75%
    • 에이다
    • 921
    • +7.72%
    • 이오스
    • 1,000
    • -0.89%
    • 트론
    • 358
    • +3.77%
    • 스텔라루멘
    • 350
    • +5.11%
    • 비트코인에스브이
    • 41,650
    • +6.41%
    • 체인링크
    • 18,380
    • +8.95%
    • 샌드박스
    • 377
    • +5.0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