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부터 K-패스로 교통비 최대 절반 환급…GTX도 사용

입력 2024-01-17 11: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국토교통부는 대중교통비 20~53%를 절감할 수 있는 K-패스 사업을 5월부터 시행하여 서민·청년층 등 국민 교통비 부담을 완화하겠다고 17일 밝혔다.

K-패스는 월 15회 이상 정기적으로 시내버스와 지하철과 같은 대중교통을 이용할 경우, 지출금액의 일정 비율(일반인 20%, 청년층 30%, 저소득층 53%)을 다음 달에 돌려받을 수 있는 교통카드다. 현재 시행 중인 알뜰교통카드의 이용 불편은 개선하고 혜택은 확대한 사업이다.

예를 들어 매월 대중교통비로 평균 7만 원을 지출하면, 일반인은 1만4000원, 청년은 2만1000원, 저소득층은 3만7000원을 절감해 연간 기준으로는 17~44만 원까지 아낄 수 있다. 카드사의 추가 할인 혜택(최대 10%)까지 고려하면 교통비 절감 효과가 매우 클 것으로 전망된다.

알뜰교통카드를 사용하고 있는 이용자는 K-패스 회원 전환 절차를 거치면 별도의 카드 재발급 없이 기존에 발급받은 교통카드를 그대로 사용하여 K-패스 혜택을 받을 수 있으며, 신규 이용자는 5월부터 K-패스 공식 홈페이지나 모바일 앱 또는 11개 카드사 홈페이지를 통해 원하는 교통카드 상품을 골라 K-패스를 이용할 수 있다.

국토부는 기존 7월 시행을 목표로 K-패스 도입을 추진해 왔으나, 국민 교통비 부담을 신속히 완화하기 위해 사업 전환 작업을 조속히 완료해 5월부터 조기 시행한다. 최소 이용횟수 조건도 월 21회에서 15회로 줄여 이용 장벽을 낮춘다.

또 일반 시내버스나 지하철 외에도 GTX-A, 광역버스 등 고비용 수단을 이용해도 K-패스 혜택을 제공해 장거리 출·퇴근에 따른 이용자 부담도 대폭 완화할 계획이다.

아울러, K-패스에 참여하는 지역도 현재 176개 지자체에서 189개 지자체로 확대할 계획이다. 인구수 10만 명 이하인 일부 지자체를 제외하면, 사실상 전국 모든 지자체가 사업에 참여하는 셈이다.

강희업 국토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 위원장은 “전국적으로 대중교통 요금이 올라 대중교통 이용에 따른 경제적 부담이 커졌으나, K-패스를 사용한다면 전국 어디서든 교통비 부담을 획기적으로 덜 수 있을 것”이라며 “지자체·카드사 등 관계기관 협의, 시스템·앱 개발 등 사업준비 절차를 빈틈없이 이행하고, 앞으로 지역맞춤형 K-패스 사업도 적극 발굴해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야구장부터 테마파크까지…캐릭터가 '어른이'들을 홀린 비결 [이슈크래커]
  • 5월 2일 임시공휴일 무산됐지만 권장휴무 됐다?...대감집 노비들의 이야기 [해시태그]
  • "SKT 20년 이용했는데 해킹이라니"…전국 대리점 '유심 대란'
  • 빅텐트 최강조합 '한덕석'…"李 꺾을 확률 가장 높다" [디지트라다무스:AI무당]
  • 소방청, 대구 북구 산불 관련 '국가 소방동원령' 발령
  • “탄핵 찬성, 반대?” 사회 곳곳에 나타나는 ‘십자가 밟기’ [서초동 MSG]
  • 청주 고교서 특수교육 학생 흉기 난동… 교장 등 6명 부상 [종합]
  • 안전 운전도 하고, 벌점 감경 포인트도 쌓고…‘착한운전 마일리지’는? [경제한줌]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2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5,197,000
    • -0.2%
    • 이더리움
    • 2,532,000
    • -2.13%
    • 비트코인 캐시
    • 500,000
    • -1.09%
    • 리플
    • 3,281
    • +2.34%
    • 솔라나
    • 211,000
    • -1.72%
    • 에이다
    • 996
    • -0.5%
    • 이오스
    • 972
    • +1.89%
    • 트론
    • 355
    • -1.39%
    • 스텔라루멘
    • 407
    • -0.73%
    • 비트코인에스브이
    • 56,300
    • -5.38%
    • 체인링크
    • 20,970
    • +0.67%
    • 샌드박스
    • 423
    • -0.2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