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평 2년 새 1억 올랐는데…끝 안 보이는 분양가, 오늘 청약이 답(?)

입력 2024-02-27 15:1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분양가 상승세가 지속되면서 예비 청약자들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서울 강동구 올림픽파크포레온(둔촌주공) 모습.  (연합뉴스)
▲분양가 상승세가 지속되면서 예비 청약자들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서울 강동구 올림픽파크포레온(둔촌주공) 모습. (연합뉴스)

최근 분양가가 가파르게 오르면서 예비 청약자들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부동산 시장 침체와 고금리로 인한 자금조달 부담이 큰 상황이라 선뜻 청약하기 어려운데 분양가가 높아질수록 차익은 줄고 자금조달 부담은 가중될 수 있어서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급한 마음에 청약을 서두르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조언한다.

27일 주택도시보증공사에 따르면 작년 12월 기준 전국 아파트 3.3㎡당 분양가는 1736만 원으로 2년 전인 2021년 12월 1412만 원과 비교해 324만 원 상승했다. 전용 면적 84㎡를 기준으로 환산하면 1억1000만 원가량 오른 것이다.

분양가는 서울과 수도권, 지방을 막론하고 오름세를 나타내고 있다. 공사비 상승이 분양가를 밀어 올리는 주요인이다.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건설공사비지수는 작년 말 153.26으로 최근 3년 새 25.8% 높아졌다. 건설공사비지수는 건설공사에 투입되는 재료, 노무, 장비 등의 가격 변동을 나타내는 지표다. 건설용 중간재 물가는 지난해 말 기준으로 3년간 35.6% 상승했다. 건설업계는 간접비 등까지 고려하면 실질 공사비는 50% 이상 늘었다고 얘기하고 있다.

시멘트와 레미콘 등 건설 주요 자재 가격 인상 등으로 분양가 오름세는 앞으로도 한동안 지속될 전망이다. 층간소음 기준 강화도 분양가 상승 요인으로 꼽힌다. 정부는 지난해 층간소음 기준에 미달하면 준공을 불허하는 내용의 층간소음 해소방안을 내놓은 바 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분양 주택이 더 비싸질 수 있다는 두려움 때문에 청약에 뛰어들어서는 안 된다는 의견이다.

양지영 양지영R&C연구소장은 "자금조달에 큰 무리가 없는 경우가 아니라면 청약했다가 통장만 날리는 일이 벌어질 수 있기 때문에 급하게 서두르는 것은 지양해야 한다"며 "시간을 두고 접근하면서 정부의 저리 정책 대출 또는 자신에게 유리한 지원책을 기다리는 게 현명할 수 있다"고 말했다.

또 선택지가 많아질 수 있는 아파트 공급량 확대 시점까지 여유를 갖는 것도 나쁘지 않다고 덧붙였다.

청약에 나선다면 분양가의 적정성을 잘 따져보는 게 가장 중요하다. 박지민 월용청약연구소 대표는 "지금 같은 상황에서는 새집을 싸게 산다는 청약의 기본에 충실해야 한다"며 "기본적으로 분양가가 주변 시세보다 10~20%가량 낮은 단지라면 적극적인 청약을 생각해볼 만하고 가격 차이가 10% 미만인 단지도 입지나 상품성 등이 좋다면 고려 대상이 될 수 있다"고 했다.

신규분양 단지 청약에만 집중할 이유가 없다는 의견도 있다. 김인만 김인만부동산연구소장은 "시세차익을 기대하기 어려운 아파트를 분양받는 것은 좋은 선택이 아니다"라며 "기존 주택, 그중에서도 급매나 경매 물건 또는 수년 전 가격에 나오는 줍줍 물량을 노리는 게 낫다"고 조언했다.

그러면서 "분양가 상승이 단기에 끝나지 않겠지만, 기존 주택의 가격 정체를 생각하면 생각하면 마냥 오를 수는 없다"며 "새 아파트를 원한다면 분양가가 기존 주택 가격 대비 적정 수준으로 조정될 때까지 장기전으로 가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관세전쟁에 내수부진 장기화까지...韓경제 짓누른 'R의 공포'
  • 대법, ‘이재명 사건’ 직접 결론낼까…최근 파기자판율 0% 가까워
  • 금요일 조기 퇴근, 진짜 가능할까? [이슈크래커]
  • 미국 경영진 체감경기,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최악…줄줄이 전망 하향 조정
  • "마라톤 뛰러 미국 간다"…러너들이 가장 가고 싶어하는 해외 마라톤 대회는 [데이터클립]
  • “군 간부입니다” 믿었다가…진화된 ‘조직적 노쇼’에 당했다 [해시태그]
  • 국민의힘 4강 ‘토론 대진표' 확정...한동훈-홍준표 3시간 끝장 토론
  • ‘입시비리’ 조민, 2심도 벌금 1000만 원...법원 “원심판단 정당”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23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3,873,000
    • +5.09%
    • 이더리움
    • 2,561,000
    • +9.77%
    • 비트코인 캐시
    • 512,000
    • +2.91%
    • 리플
    • 3,241
    • +7.35%
    • 솔라나
    • 217,300
    • +7.95%
    • 에이다
    • 999
    • +8.71%
    • 이오스
    • 955
    • +4.95%
    • 트론
    • 351
    • -1.4%
    • 스텔라루멘
    • 389
    • +9.27%
    • 비트코인에스브이
    • 44,000
    • +4.99%
    • 체인링크
    • 21,220
    • +10.93%
    • 샌드박스
    • 424
    • +7.6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