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터리 3사 해외 생산 비중 전년 대비 1.5% 감소
해외 생산 확대 따른 국내 생산 비중 감소가 원인
K-배터리 글로벌 사용량 전년 대비 29.6% 증가
지난해 이차전지 수출이 2015년 이후 처음으로 역성장을 기록했으나 이는 국내 배터리 기업들의 해외 생산 확대에 따른 것이란 분석이 나왔다. 국내 배터리 기업들의 글로벌 전기차용 배터리 사용량은 전년 대비 29.6% 증가하며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이 15일 발간한 ‘이차전지 수출 변동 요인과 향후 전개 방향’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 이차전지 수출은 98억3000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1.5%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무협은 수출 감소의 가장 큰 원인은 LG에너지솔루션, SK온, 삼성SDI 등 국내 배터리 3사의 해외 생산 비중이 높아지며 국내 생산 비중이 상대적으로 줄어들었기 때문으로 분석했다.
실제 배터리 3사의 지난해 기준 해외 생산 비중은 92.4%로 배터리의 국내 생산 비중은 10%를 밑도는 것으로 나타났다. 해외 공장에서 생산 후 판매되는 배터리는 국내 통관을 거치지 않으므로 수출 금액으로 집계되지 않는다.
에너지 전문 시장조사업체 SNE리서치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배터리 기업들의 글로벌 전기차용 배터리 사용량은 2022년 대비 29.6% 증가하며 오히려 큰 폭의 성장세를 이어간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배터리 기업의 주요 생산거점인 헝가리와 폴란드의 이차전지 수출 금액도 큰 폭으로 증가했다. 지난해 1~9월 기준 세계 이차전지 상위 5대 수출국 중 수출 증가율이 가장 높았던 나라는 헝가리(66.2%)와 폴란드(65.9%)로, 중국(32.4%)을 크게 상회했다. 폴란드는 LG에너지솔루션 총생산의 47.5%, 헝가리는 삼성 SDI 총생산의 77.1%를 차지하는 최대 생산거점이다.
보고서는 이차전지 수출 변동 요인으로 이차전지 해외 생산 확대 외에도 △중국기업과의 경쟁 및 리튬인산철(LFP) 배터리 선호도 증가 △전기차 수요 둔화를 꼽았다.
배터리 수출에 대한 요인별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해외 생산 확대(2.44%)’가 수출 변동을 설명하는데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기업과의 경쟁 및 LFP 배터리 선호도 증가’와 ‘전기차 수요 둔화’가 수출 변동에 미치는 영향은 각각 0.76%, 0.75%로 나타나 영향력이 비슷한 것으로 분석됐다.
무협은 올해 하반기 중 미국 금리가 인하될 경우 주요국의 점진적 경기 개선에 힘입은 전기차·배터리 수요 회복이 예상돼 이차전지 산업도 호조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했다. 미국의 인플레이션감축법(IRA)을 통한 중국산 배터리 견제로 인한 우리 기업의 반사이익도 기대해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최근 원료 광물 가격 하락세가 둔화되는 점도 호재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 일반적으로 제조 원가 상승은 기업에 불리하지만 이차전지 산업은 납품 단가가 원자재 가격과 연동되는 경우가 많아 광물 가격이 상승하면 원자재 구매와 완제품 납품 간 시차로 인해 수익성이 개선된다는 설명이다.
도원빈 한국무역협회 수석연구원은 “지난해 우리나라 배터리 수출이 감소한 것은 우리 기업의 경쟁력 약화가 아닌 해외 생산 확대에 따른 현상”이라면서 “지난해 K-배터리의 실제 사용량 기준 세계 시장 점유율은 23.1%로 수출 점유율(6.6%) 대비 3배 이상 높다”고 말했다.
이어 “다만 안정적인 공급망의 구축을 위해 국내 이차전지 제조시설의 확대를 위한 정책이 필요하다”며 “미국이 IRA를 통해 자국 내 배터리 제조시설에 30%에 달하는 투자 세액공제를 제공하고 있어 우리도 경쟁국과 동등한 투자 환경 제공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