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일 오전 9시 35분 가상자산(암호화폐) 통계사이트 코인게코에 따르면 비트코인은 전일 대비 3.6% 밀린 6만3239.21달러(주요 거래소 평균가)에 거래됐다. 이란의 이스라엘 공격으로 한때 급락한 비트코인은 일시적으로 6만5000달러 선까지 회복했으나 인플레이션 고조 우려와 테슬라 직원 감축 등 매크로 이슈가 다시금 맞물리며 6만3000달러선까지 하락했다.
이더리움은 전일대비 1.8% 떨어진 3077.09달러로, 바이낸스 코인은 2.3% 하락한 550.01달러로 나타났다. 한때 150달러를 터치했던 솔라나도 전일대비 8.6% 급락하며137.37달러에 거래됐다.
이밖에 리플 -1.7%, 에이다 -1.8%, 톤코인-4.5%, 도지코인 -1.6%, 시바이누 -3.7%, 아발란체 -6.8%, 폴카닷 -2.4%, 트론 -1.4%, 유니스왑 -4.1%, 폴리곤 -1.2%, 라이트코인 -2.4%, 앱토스 -4.4%, 코스모스 -3.1%, OKB +6.0%로 집계됐다.
미 증시는 예상을 웃돈 소매판매와 중동 위기 불안에 하락 종료했다. 밤사이 다우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248.13포인트(0.65%) 내린 3만7735.11에 마무리했다. S&P500지수는 61.59포인트(1.20%) 하락한 5061.82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290.08포인트(1.79%) 떨어진 1만5885.02에 마감했다.
전날 미국의 전쟁 억제 기조 속 호조세를 보이던 가상자산 시장은 홍콩 증권 당국의 상장지수펀드(ETF)승인에 기대감이 형성됐으나 금리인하 기대감이 후퇴하며 약세로 나타났다.
앞서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이스라엘 측에 이란에 대한 보복 공격에 불참 의사 밝히며 확전 의지 억제에 나섰으나 이스라엘이 공격 방침을 세우며 중동 위기가 다시금 고조됐다. 15일(현지시간) 현지 언론의 보도에 따르면 이스라엘은 재반격 여부와 관련해, 이스라엘 전시 내각이 이날 전면전을 유발하지 않는 선에서 이란에는 ‘고통스러운 보복’에 무게를 두고 있다.
여기에 미국인들의 소비 여력을 보여주는 소매판매가 예상을 웃돌자 인플레이션 우려가 고조됐다. 올해 3월 미국의 소매판매는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집계한 전문가 예상치였던 0.3%를 크게 상회하는 0.7%로 나타났다.
이로 인해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금리 인하를 서두르지 않을 것이라는 관측이 더욱 힘을 받았다. 또한 미국 채권금리의 벤치마크 역할을 하는 10년 만기 미국 국채 금리가 4.6%로 급등하며 지난해 11월 중순 이후 5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으로 올라섰다.
다만 이날 홍콩 증권·규제당국이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의 ETF를 승인하자 전문가들은 이번 승인이 다시 한번 업계에 긍정적인 바람을 불러올 것으로 내다봤다.
가상자산 분석가 크립토 댄은 “미국에서 비트코인 현물 ETF가 승인된 이후 대규모 자금이 들어왔고, 최근에는 유입이 주춤하고 있는 상황이었는데, 홍콩에서도 ETF가 승인되며 중국계 자금이 들어올 가능성이 높아졌다”면서 “중국계 자금 유입의 시너지 효과로 인해 미국 자금의 추가 유입 등이 발생할 가능성도 높아져, 더 긍정적인 상승 움직임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다만 비트코인의 경우 이미 미국 발 호재가 한 차례 있었던 만큼, 파급력이 상대적으로 작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투자 심리 지표는 ‘탐욕’ 상태로 나타났다. 가상자산 데이터 제공 업체 얼터너티브의 자체 추산 ‘공포·탐욕 지수’는 전날보다 9포인트 내린 65로 ‘탐욕’ 상태를 보였다. ‘공포·탐욕 지수’가 70이하로 내려온 것은 2월 8일 이후로 처음이다. 해당 지수는 0에 가까울수록 시장의 극단적 공포를 나타내며, 100에 가까울수록 극단적 낙관을 의미한다. 공포 탐욕 지수는 변동성(25%), 거래량(25%), SNS 언급 양(15%), 설문조사(15%), 비트코인 시총 비중(10%), 구글 검색량(10%) 등을 기준으로 산출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