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산물 도매도 온라인으로 거래…농수산물 온라인도매시장으로 확대

입력 2024-05-13 14:18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24일부터 운영…송미령·강도형 장관, 13일 현장 점검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왼쪽)과 강도형 해양수산부 장관이 13일 오전 서울 서초구 aT센터에서 열린 농림축산식품부-해양수산부 합동 농수산물 수급안정 및 유통구조 개선방안 현장 설명회에서 인사말 하고 있다.  (뉴시스)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왼쪽)과 강도형 해양수산부 장관이 13일 오전 서울 서초구 aT센터에서 열린 농림축산식품부-해양수산부 합동 농수산물 수급안정 및 유통구조 개선방안 현장 설명회에서 인사말 하고 있다. (뉴시스)

24일부터 농산물 온라인 도매시장에서 수산물도 구매할 수 있게 된다.

농림축산식품부는 농산물 온라인 도매시장 활성화를 위해 거래 품목을 수산물까지 확대한다고 13일 밝혔다.

현재 농산물 유통구조 개선 일환으로 농식품부는 지난해 11월 농산물 온라인 도매시장을 개설하고 활성화를 추진 중이다. 이에 따라 농산물 온라인 도매시장에서 수산물도 판매할 수 있도록 관련 규제를 개선해 오는 24일부터 실제 수산물 거래도 가능해진다.

송미령 농식품부 장관과 강도형 해양수산부 장관은 이날 서초구 양재동 aT센터 내 농산물 온라인 도매시장 상황실을 찾아 수산물 거래 개시 준비 사항을 직접 살폈다.

정부는 농산물 온라인 도매시장 활성화 외에도 농산물 물가 안정을 위한 대책을 추진하고 있다.

농식품부는 비축한 채소를 시장에 공급하고 있으며, 국내 공급이 부족한 농축산물에 대해서는 할당관세를 적용해 수입을 확대하고 있다.

아울러 농식품부는 가격이 뛴 과일과 채소 가격을 잡기 위해 지난달부터 긴급 가격안정 자금 1500억 원을 투입해 납품 단가와 할인 행사를 지원하고 과일 직수입 등을 하고 있다.

해수부도 수산물 물가 관리를 위해 올해 정부 비축사업에 2065억 원, 할인 지원에 1388억 원을 각각 지원하는 등 최대 규모의 예산을 투입하기로 했다.

또 '물가안정대응반'을 구성해 매일 수산물 수급과 가격 동향을 모니터링하고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근로자의 날’ 택배·은행·학교·유치원·마트·병원·주식시장 등 휴무 여부는?
  • 단독 SKT 해킹에 금융당국, 개인정보 배상책임보험 보장 한도 상향 검토
  • K-조선소 둘러보는 美해군성 장관…삼성중공업 빠진 이유는
  • [날씨] "외투 가볍게 걸치세요"…낮 최고 28도 전국 초여름 더위
  • 예금금리 올려 고객 이탈 막는 저축은행들
  • 단독 가격 인상은 ‘껑충’...식품기업, 연구개발비 투자는 매출의 1%미만 ‘찔끔’
  • "번호이동 가능한가요?"…SKT 해킹 난리에 또 소외된 노년층 [이슈크래커]
  • 교대가 어쩌다가…'내신 6등급' 입결에 더 현타오는 교사들 [해시태그]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29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6,187,000
    • -0.36%
    • 이더리움
    • 2,595,000
    • -0.19%
    • 비트코인 캐시
    • 527,500
    • +3.63%
    • 리플
    • 3,241
    • -2.2%
    • 솔라나
    • 211,300
    • -1.08%
    • 에이다
    • 1,006
    • -0.79%
    • 이오스
    • 992
    • -0.8%
    • 트론
    • 352
    • -1.4%
    • 스텔라루멘
    • 400
    • -2.2%
    • 비트코인에스브이
    • 55,600
    • -3.3%
    • 체인링크
    • 21,080
    • -2.45%
    • 샌드박스
    • 430
    • -0.9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