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임대 아파트가 소비자 외면에 울상을 짓고 있다. 서울을 중심으로 전셋값 상승세가 계속되고 있지만, 전세 대안 중 하나인 민간임대 경쟁률은 한 자릿수에 그칠 정도로 수요가 뚝 끊겼다. 전문가들은 최근 부동산 시장은 전셋값은 오르지만, 매맷값은 약세를 지속하면서 민간임대 주택을 선택할 이유가 부족하다고 입을 모았다.
21일 한국부동산원 청약홈에 따르면 이달 청약을 진행한 민간임대와 공공지원 민간임대 아파트 경쟁률은 모두 한 자릿수에 그친 것으로 파악됐다. 지난 2021년과 2022년 전셋값 급등 당시 세입자 수요가 민간임대 아파트에 몰리면서 두 자릿수 경쟁률이 쏟아졌던 것과 정반대 상황이다.
지난 7~8일 청약을 받은 공공지원 민간임대 단지 ‘서울은평뉴타운 디에르트 더 퍼스트’ 전용면적 84A㎡형 경쟁률은 5월 3.3대 1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달 진행한 청약 당시 같은 평형 경쟁률 7.91대 1보다 되려 하락한 수준이다. 이 단지는 한시적으로 분양전환 우선권까지 부여했지만, 수요자 모집엔 실패했다.
또다른 공공지원 민간임대 주택인 인천 ‘영종유승한내들 스카이2차’와 민간임대 단지 대구 ‘해링턴플레이스 동대구’ 모두 지난달에 이어 이달까지 한 달 간격으로 청약 접수를 진행했다. 하지만 모두 한 자릿수 경쟁률을 기록하면서 부진한 성적표를 받아 들었다.
이는 과거 전셋값 급등기 공공지원 민간임대 단지에 수요가 집중됐던 상황과는 정반대다. 2022년 7월 신청받은 서울 ‘힐스테이트 관악 뉴포레’는 평균 94.9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같은 해 3월 청약을 진행한 경기 수원시 ‘수원역 푸르지오 더 스마트’ 역시 27.3대 1의 경쟁률을 기록한 바 있다.
전문가는 과거 매맷값과 전셋값이 동반 상승한 것과 달리 최근에는 전세만 치솟으면서 민간임대 단지를 선택할 유인이 줄었다고 분석했다.
윤수민 NH농협은행 부동산전문위원은 “공공지원이나 임대 주택의 경우 수요자 입장에선 시세 대비 저렴해야 하지만, 현행 민간임대 주택의 임대료는 저렴하지 않다”며 “2021~2022년 집값 급등 시기와 달리, 최근처럼 집값이 보합이나 소폭 하락하는 시기에는 민간임대 대신 아예 매매에 나서는 수요가 더 큰 것”이라고 분석했다.
실제로 서울은평뉴타운 디에르트 더퍼스트 전용 84㎡형 가격은 6억8000만~6억9000만 원 선으로 책정됐다. 인근 은평뉴타운 기자촌11단지 전용 84㎡형의 이날 기준 매도 호가는 7억6000만 원부터로 민간임대 단지 임대보증금과 가격 차이는 7000만 원 수준에 그친다. 10년 뒤 분양전환 우선권 등을 고려해도 매수가 더 유리한 셈이다.
여기에 공급자인 건설사도 최근 건설 경기가 부진한 상황에서 수익성이 낮은 민간임대 아파트 공급을 결정하긴 어려운 상황이다. 이 때문에 준수한 입지 내 합리적 가격을 갖춘 민간임대 아파트 공급이 부족한 것으로 해석된다.
한 건설업계 관계자는 “시행 사업자는 주택을 공급할 땅이 있으면 분양을 진행하는 것이 수익성이 가장 크고, 분양이 어려우면 후순위로 선택하는 것이 민간임대”라며 “특히 공공지원 민간임대의 경우 최대한 저렴하게 공급해야 수익성이 높은데 공사 원가 상승 등의 영향으로 저렴한 임대주택 공급이 어렵다”고 말했다.
이렇듯 민간임대 주택 공급 상황이 여의찮지만, 정부는 기업형 민간임대주택을 신설해 활성화하겠다는 계획을 연일 강조하고 있다. 박상우 국토부 장관은 3월 기업형 장기임대주택 도입 관련 간담회에서 구체적인 추진 계획을 밝히기도 했다. 당시 박 장관은 “협회 등 업계와 함께 모의 분석(시뮬레이션)을 조만간 시작하기로 했다”며 “하반기 정기국회 전에 법안 형태로 제도를 제시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인만 김인만부동산연구소장은 “새로운 유형의 민간임대주택을 만들어 도입하는 것보다 기존 민간임대 주택 제도를 다듬어 양질의 아파트를 꾸준히 공급하는 것이 시장 안정을 위해 더 필요하다”며 “정권이 바뀔 때마다 민간임대 주택 정책이 바뀌는데 이러면 정책 설계만 하다가 끝나게 된다. 정책 일관성이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