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 김성주 "연금개혁, 정치적 계산 없어...尹대통령의 공 될 것"

입력 2024-05-27 17:07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더불어민주당 국회연금개혁특위 간사인 김성주 의원이 27일 오전 국회에서 21대 국회 임기 내 연금개혁(안) 처리를 촉구하는 기자간담회를 열고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 국회연금개혁특위 간사인 김성주 의원이 27일 오전 국회에서 21대 국회 임기 내 연금개혁(안) 처리를 촉구하는 기자간담회를 열고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야당 간사인 김성주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27일 21대 국회 임기 내에 모수개혁이라도 먼저 한 후에 근본적인 해결책을 찾아 구조개혁을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의원은 이날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연금개혁에) 무슨 정치적 계산이 있겠나. 21대 국회에서 모수개혁이라도 합의해서 처리한다면 국민들은 박수칠 것이고, 그 공은 윤석열 대통령에게 갈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김 의원은 협의 과정을 설명하며 "주호영 연금특위 위원장·김경준 여당 간사와 (제가) 의기투합해서 (연금개혁을) 한번 해보자고 했었다"면서 "그런데 여야 제시안의 차이를 설명하기 위해 연 기자회견에서 주 위원장이 갑자기 (보험료율) 2% 차이 때문에 무산됐다고 선언했다. 그 다음날 윤 대통령이 기자회견에서 연금개혁을 22대에 하자고 했다"고 밝혔다.

이어 "그러더니 최근 들어 여당에서 모수개혁을 하면 오히려 구조개혁의 동력을 떨어뜨린다고 주장한다"며 "그러나 21대 국회에서 모수개혁을 마무리 짓지 않으면 22대 국회에서도 개혁을 할 수 없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김 의원은 "여당은 '왜 문재인 정부에서 하지 않고 윤석열 정부에서 하려고 하냐'라고 하지만, 문 정부에서 못했기 때문에 책임감을 갖고 윤 정부에서 적극적으로 나서 초당적으로 하려는 것"이라며 "야당이 먼저 나서는데 왜 그것을 거부하는지 이해가 안된다"라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22대 국회에서 다시 시작한다고 하지만 언제 시작할지 알 수가 없다"며 "이번에 모수개혁을 해놓고 홀가분한 마음으로 구조개혁을 한다면 저희 민주당도 협조할 것이다. 그런데 모수개혁이 안 되면 야당이 협조할 명분이 없다. 22대 때 하자는 것은 윤 정부에서는 하지 않겠다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김 의원은 간담회 막바지에 감정이 북받친 듯 울먹이며 "저는 이제 (국회의원 임기가) 이틀 남았다. 마지막으로 (연금개혁을) 꼭 하고 마치고 싶다"고 호소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우울한 생일 맞은 롯데…자산 매각·사업 재편 속도전[롯데, 위기 속 창립 58주년]
  • 어도어-뉴진스 전속계약 소송 첫 변론...“합의 희망” vs “그럴 상황 아냐”
  • 이민정♥이병헌 쏙 빼닮은 아들 준후 공개…"친구들 아빠 안다, 엄마는 가끔"
  • “매매 꺾여도 전세는 여전”…토허제 열흘, 강남 전세 신고가 행진
  • 대법,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유죄 확정…권오수‧‘전주’ 징역형 집행유예
  • 탄핵선고 하루 앞으로...尹 선고 '불출석', 대통령실은 '차분'
  • 전방위 폭탄에 갈피 못잡는 기업들…공급망 재편 불가피 [美 상호관세 쇼크]
  • 병원 외래 진료, 17분 기다려서 의사 7분 본다 [데이터클립]
  • 오늘의 상승종목

  • 04.03 15:18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3,500,000
    • -0.96%
    • 이더리움
    • 2,701,000
    • -2.07%
    • 비트코인 캐시
    • 450,000
    • -0.02%
    • 리플
    • 3,045
    • -1.33%
    • 솔라나
    • 176,100
    • -4.29%
    • 에이다
    • 963
    • -2.63%
    • 이오스
    • 1,202
    • +3.18%
    • 트론
    • 350
    • -0.57%
    • 스텔라루멘
    • 389
    • -1.27%
    • 비트코인에스브이
    • 46,100
    • -1.31%
    • 체인링크
    • 19,370
    • -2.96%
    • 샌드박스
    • 390
    • -1.7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