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 개각 준비 돌입...이르면 이달 말, 6개 부처 수장 교체 거론

입력 2024-06-07 16:54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윤석열 대통령이 6일 서울 동작구 국립서울현충원에서 열린 제69회 현충일 추념식에서 추념사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
▲윤석열 대통령이 6일 서울 동작구 국립서울현충원에서 열린 제69회 현충일 추념식에서 추념사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

윤석열 대통령이 부처 장·차관 일부를 교체하는 개각 준비에 들어갔다. 정부 출범 당시부터 함께 한 장수 장관이 대상이 될 전망이다. 한덕수 국무총리는 당분간 유임될 것으로 보인다.

7일 대통령실 및 정치권에 따르면 윤석열 대통령은 이르면 이달 말께 6개 부처 장관을 교체할 것으로 알려졌다. 취임 초 임명된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을 비롯해 이정식 고용노동부, 한화진 환경부 장관,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등이 대상이 될 전망이다. 같은 해 임명된 이주호 교육부 장관과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도 교체 후보군에 올라 있다. 한기정 공정거래위원장과 윤희근 경찰청장 역시 바뀔 가능성이 제기된다. 차관급에서는 장미란 문화체육관광부 2차관 등 교체 가능성이 점쳐진다.

앞서 윤 대통령은 지난달 9일 취임 2주년 기자회견에서 분위기 전환과 소통 강화를 위해 개각 필요성을 언급한 바 있다. 윤 대통령은 "이제 개각이 필요하다"며 "정부 출범 후 2년간 장관직을 맡은 분들이 있고, 각 부처 분위기도 바꿔 소통하고 민생에 다가가기 위해"라고 부연했다.

그러나 개각 속도는 다소 더뎠다. 4·10 총선 참패 이후 약 한 달여만에 개각을 언급했지만, 이후 다시 한 달 가까운 시간이 흘렀다. 지난달 말부터 이달 초 계속된 릴레리 정상회담 일정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다만 총선 직후 사의를 밝혔던 한 총리는 유임 가능성이 커 보인다. 한때 더불어민주당 박영선 전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발탁설이 흘러나왔지만 총리 인선은 현재까지 이뤄지지 않고 있다. 현재 22대 국회가 여소야대 상황으로 총리는 국회 인준을 받아야 하는 만큼 윤 대통령이 총리 인사엔 신중하게 나설 가능성이 크다.

김재원 전 국민의힘 최고위원은 이날 YTN 라디오의 한 방송에서 "지금 당장 총리 후보로 마땅한 그런 분을 찾아내지 못했다. 논란만 있었다"며 "총리를 유임시키는 것이 맞다고 본다"고 말했다. 김 전 의원은 "국회에서 민주당이 맹수처럼 기다리고 있는데, 어느 누구를 내보냈다가 부결시키고 나서 시작을 할 텐데 전 어렵다고 본다"고 덧붙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망곰이 유니폼, 제발 팔아주세요"…야구장 달려가는 젠지, 지갑도 '활짝' [솔드아웃]
  • "돈 없어도 커피는 못 참지" [데이터클립]
  • 네이버웹툰, 나스닥 거래 첫날 9.52% 급등 마감
  • 사잇돌대출 공급액 ‘반토막’…중·저신용자 외면하는 은행
  • "故 구하라 금고털이범, 버닝썬 사건과 연관돼 있을 가능성 있어"
  • 허웅, 유혜원과 열애설 일축…"연인 아닌 친구 관계"
  • 방탄소년단 '활중' 미리 알고 주식 판 하이브 직원들…결국 법정행
  • 국내 최초 지역거점 바이오클러스터 ‘춘천 바이오클러스터’ [가보니]
  • 오늘의 상승종목

  • 06.28 10:30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7,177,000
    • +1.12%
    • 이더리움
    • 4,870,000
    • +1.97%
    • 비트코인 캐시
    • 549,500
    • +3.58%
    • 리플
    • 670
    • +1.21%
    • 솔라나
    • 210,100
    • +9.14%
    • 에이다
    • 553
    • +1.84%
    • 이오스
    • 829
    • +2.47%
    • 트론
    • 172
    • -0.58%
    • 스텔라루멘
    • 129
    • +0.78%
    • 비트코인에스브이
    • 64,100
    • +2.07%
    • 체인링크
    • 20,250
    • +3.69%
    • 샌드박스
    • 478
    • +1.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