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반기 시멘트 출하량 15% 감소…수요 감소세 지속 우려

입력 2024-07-03 11:57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1일 경기 안양시의 한 레미콘 공장에 믹서트럭들이 멈춰있다.  (뉴시스)
▲1일 경기 안양시의 한 레미콘 공장에 믹서트럭들이 멈춰있다. (뉴시스)

건설산업 불황으로 시멘트 출하량이 줄면서 시멘트 업계에 비상이 걸렸다. 하반기에도 감소세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되면서 불안감이 확산하고 있다.

3일 국내 주요 시멘트업체를 회원으로 하는 한국시멘트협회는 올해 상반기 시멘트 수요가 전년 동기 대비 약 15% 감소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밝혔다.

협회가 집계한 1분기 출하는 약 13.4% 감소한 1040만 톤이지만, 6월 들어 20% 이상 감소하는 등 2분기 수요 하락폭이 확대됐다.

통상적으로 2분기 이후 시멘트 수요가 늘어나고, 특히 2분기와 4분기는 극성수기에 해당해 출하량이 증가한다. 그러나 올해는 이례적으로 2분기에도 감소폭이 심화하고 있다. 업계는 연간 출하량이 20% 넘게 줄어들 수 있다는 절망적인 전망도 배제할 수 없다고 우려했다.

협회 관계자는 “지난해 수요 증가로 매출액이 다소 회복됐지만, 올해는 시멘트 수요 급감에 더해 글로벌 공급망 불안에 따른 원자재 수급 불안정과 전기요금 인상 가능성까지 더해지면서 한 치 앞도 예측하기 어려운 경영여건이 예상된다”고 밝혔다.

일본과 시장 상황이 비슷한 국내 시멘트 업계도 장기 불황으로 ‘마이너스 성장의 덫’에 빠질 가능성을 상정한 선제적 위기 대응 플랜 마련에 나서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일본은 한때 시멘트 판매량이 연간 약 1억2000만 톤에 달했으나 올해 4000만 톤 이하로 급감할 것으로 예상된다.

IMF 외환위기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때와 같은 급격한 수요절벽을 넘어 장기적인 마이너스 성장으로 진입하는 신호탄이 아니냐는 비관적인 전망도 제기됐다. 시장 불황과 지속적인 제조원가 상승 등 경영여건 악화로 시멘트 생산공장을 폐쇄한 사례가 나타날 수 있다는 시각이다.

협회 관계자는 “국내 시멘트산업의 경기순환 사이클은 일본 시멘트산업과 유사하게 진행되어 항상 일본의 시장 상황을 반면교사로 삼아 왔다”며 “국내 시멘트업계도 급격한 수요절벽이 결국 저성장의 장기 불황으로 이어질 수 있어 크게 우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알림] 이투데이, '2024 CSR 영상공모전'... 27일까지 접수
  • 고프코어? 러닝코어!…Z세대가 선택한 '못생긴 러닝화'의 정체 [솔드아웃]
  • 추석 연휴 첫날 귀성길 정체…서울→부산 7시간 10분
  • 아이폰 16 사전 예약 돌입…혜택 큰 판매처는 어디?
  • 추석 연휴 TV 특선영화 총정리…'서울의 봄'·'범죄도시3'·'시민덕희' 등
  • 의대 수시모집에 7만2000명 몰려…'의대 투자'는 기대ㆍ우려 맞서
  • '베테랑 2' 개봉일 50만 명 동원…추석 극장가 '독주' 시동
  • "물가 무서워요" 추석 연휴 장바구니 부담 낮춰 주는 카드는?
  • 오늘의 상승종목

  • 09.13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0,839,000
    • +0.01%
    • 이더리움
    • 3,255,000
    • -0.03%
    • 비트코인 캐시
    • 442,100
    • -1.38%
    • 리플
    • 792
    • +2.19%
    • 솔라나
    • 185,100
    • -0.8%
    • 에이다
    • 478
    • -1.04%
    • 이오스
    • 673
    • -0.44%
    • 트론
    • 199
    • +0.51%
    • 스텔라루멘
    • 130
    • +0.78%
    • 비트코인에스브이
    • 65,400
    • +0.31%
    • 체인링크
    • 15,210
    • -0.72%
    • 샌드박스
    • 345
    • -1.4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