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이엘케이, 美 FDA에 뇌관류 MR 영상 분석 솔루션 인허가 신청

입력 2024-08-12 08:46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제이엘케이 뇌관류 MR 영상 분석 솔루션(JLK-PWI) 구동 화면. (사진제공=제이엘케이)
▲제이엘케이 뇌관류 MR 영상 분석 솔루션(JLK-PWI) 구동 화면. (사진제공=제이엘케이)

제이엘케이가 뇌 자기공명(MR) 관류영상 분석 솔루션(JLK-PWI)의 미국 식품의약국(FDA) 인허가 신청을 완료했다고 12일 밝혔다.

JLK-PWI는 뇌 MR 관류영상을 자동으로 분석해 뇌경색 중심 영역과 뇌관류 저하 영역에 대한 정량적인 지표를 제공하는 솔루션이다. 이 솔루션은 확산강조 MR 영상(DWI)과 관류강조 MR 영상(PWI)을 기반으로 구동되며 급성 뇌경색 치료 방침 결정을 위한 필수 정보를 자동으로 분석해 의료진에게 제공한다.

의료진이 이 솔루션을 활용하면 혈관 재개통으로 살릴 수 있는 뇌 영역을 정량적으로 확인할 수 있어 위급한 뇌졸중 환자 치료 방침 결정을 위한 정보를 정확하고 빠르게 파악할 수 있다. 특히 초급성기 뇌경색 환자의 혈전제거술(EVT)을 포함, 응급 수술(시술) 여부를 신속하게 결정할 수 있어 급성 뇌경색 환자의 예후 개선에 도움을 준다.

제이엘케이에 따르면 미국보다 전체 촬영 건수는 적지만 뇌경색 환자 대비 자기공명영상(MRI) 촬영 비율이 높은 국내 데이터를 고려할 때, 경쟁사 Rapid AI나 Viz AI보다 더 정확한 병변 예측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했다.

지난해 전남대학교병원 뇌경색 환자(414명)를 대상으로 확산강조 MR 영상에서 뇌경색 중심을 찾는 비교연구에서 Rapid AI 제품은 전체 뇌경색 환자의 61.4%에서 병변을 찾지 못한 데 비해, 제이엘케이 솔루션은 단 1.9%의 환자에게서만 병변을 찾지 못해 뇌경색 중심 병변 탐지에서 더 우수한 성능을 입증했다.

회사는 뇌졸중 AI 진단의 초격차 기술을 앞세워 미국 시장 진출을 가속하고, 글로벌 뇌졸중 치료 시장에서의 입지를 더욱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김동민 제이엘케이 대표는 “이번 FDA 인허가 신청은 JLK-PWI 솔루션의 우수성과 안전성을 공식적으로 인정받기 위한 좋은 기회가 될 것”이라면서 “JLK-PWI를 포함한 여러 혁신적인 제품들을 통해 환자들의 생명을 지키기 위한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겠다”라고 말했다.

또 “미국의 MRI 연간 촬영이 한국의 7배 수준인 약 3600만 건에 이를 정도로 크게 성장하고 있어 MRI 기반으로 구동되는 JLK-PWI의 성장이 가속화될 것으로 기대한다”라면서 “제이엘케이는 CT, MRI 모두를 커버하는 세계 최초의 전주기 뇌졸중 풀 솔루션 보유 기업으로 미국 의료 AI 시장의 새 강자로 자리 잡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김문수, 의총서 큰절...“더 넓게 품지 못한 점 사과드려”
  • '뽀빠이' 故 이상용, 영정 속 환한 미소⋯10일 빈소 마련 '향년 81세'
  • 추락하는 韓경제...올해 1분기 성장률 주요 19개국 중 꼴찌
  • ‘디플레 수렁’ 빠진 중국…4월 CPI, 3개월째 마이너스
  • '코리아 타이거' 이정영, UFC 315 페더급 경기서 판정패
  • '도원이영' 커플 탄생에 '언슬전' 최고 시청률 돌파…'슬의생' 넘을까?
  • '상승 vs 하락'…서학개미, '우왕좌왕' 장세 심화
  • 완봉승 앞두고…교체된 와이스, 완벽투로 한화 12연승 합작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5.09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6,093,000
    • +0.93%
    • 이더리움
    • 3,528,000
    • +4.66%
    • 비트코인 캐시
    • 577,000
    • -0.94%
    • 리플
    • 3,332
    • -0.69%
    • 솔라나
    • 243,800
    • +1.97%
    • 에이다
    • 1,123
    • -0.53%
    • 이오스
    • 1,271
    • -1.01%
    • 트론
    • 366
    • +0.55%
    • 스텔라루멘
    • 430
    • +1.65%
    • 비트코인에스브이
    • 58,600
    • -0.17%
    • 체인링크
    • 23,460
    • +2.13%
    • 샌드박스
    • 501
    • +4.8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