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인 과세 유예·금투세 폐지, 늦어도 내달 2일 결정된다

입력 2024-11-18 16:49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기재위, 여야 예비비 3천억 감액 합의…4.5조 통과 예상
합의에 세법 논의도 재개…“행정 절차 등 논의 진행 중”
국회법상 이달 30일 의결해야…실패 시 내달 2일 표결
금투세 폐지 예정대로 진행…코인 과세 조정 여지

▲11일 서울 강남구 업비트에 설치된 태블릿에 비트코인 등 가상자산 실시간 거래가격이 표시되고 있다. 신태현 기자 holjjak@
▲11일 서울 강남구 업비트에 설치된 태블릿에 비트코인 등 가상자산 실시간 거래가격이 표시되고 있다. 신태현 기자 holjjak@

‘가상자산 소득 과세’와 ‘금융투자소득세(금투세)’ 폐지 등 내용을 담은 내년도 소득세법 등 개정안 심사가 다시 궤도에 올랐다. 여야 간 대립을 야기했던 예비비 삭감에 대해 여야가 삭감액 일부 조정으로 합의하면서 금투세 폐지와 가상자산 유예에 대한 논의에도 불이 불게 됐다. 국회법에 따라 이달 30일까지 여야 합의가 이뤄지지 않을 경우 최종적으로 내달 2일 운명이 결정될 전망이다.

18일 정치권에 따르면 국회 기획재정위원회는 이날 오전 조세소위원회를 열고 안건을 일부 상정했다. 안건을 처리할 기재위 전체회의도 이날 열릴 예정이다.

조세소위는 여야의 금투세 폐지 합의에 이어 가상자산 소득 과세를 두고 소득세법 개정안 등 안건을 다룰 예정이다.

현행 소득세법에 따르면 내년 1월 1일부터 가상자산 투자소득 중 기본공제 250만 원을 제외한 금액에 대해 20%(지방세 포함 22%)의 세율로 과세가 이뤄진다. 당정은 과세 시행을 2년 이상 유예해 촘촘한 과세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이날 조세소위는 기재위 간사들 간의 예비비 삭감액 조정 합의에 힘입어 재개됐다. 여야 간사는 4조8000억 원 규모의 내년도 정부 예비비에 대해 3000억 원을 감액하기로 합의했다. 이날로 예정된 기재위 전체회의에서 4조5000억 원 규모의 예비비 수정안이 통과될 것으로 예상된다.

앞서 여야는 민주당의 내년도 정부 예비비 감액 이후 첨예하게 대립했으나 다시 정상화 되는 분위기다. 앞서 민주당은 13일 기재위 예산결산기금심사소위원회에서 4조8000억 원 규모의 내년도 정부 예비비 중 절반(2조4000억 원)을 감액한 안을 단독 처리했다. 이에 반발한 국민의힘은 단독으로 전체회의를 열고 오후 늦은 시간 야당이 단독 처리한 예산안은 빼고 법률안만 일괄 상정하면서 대립이 격화, 14~15일 조세소위가 파행된 바 있다.

기재위 소속 한 야당 보좌진은 “(조세 소위가) 파행을 겪었으나, 이 상태로 4년 내내 갈 수는 없을 것”이라며 “정상화를 해야 되는 만큼 소위에서 의결된 사항과 향후 일정에 대한 행정 절차 등에 대해 논의가 진행되고 있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14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기획재정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송언석 위원장이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다. (사진=뉴시스)
▲14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기획재정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송언석 위원장이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다. (사진=뉴시스)

기재위가 화해무드로 돌입하면서 여야는 금투세 폐지와 가상자산 유예에 대한 논의도 박차를 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정치권에선 관련 법안 통과가 늦어도 내달 2일까지는 결론지어질 거란 관측이 나온다. 국회법 상 정해진 처리 기한이 존재하고, 11월 말까지 논의가 진척이 없을 경우 정부안이 자동으로 회부되는 만큼 야당으로선 최악의 상황을 피하기 위해 논의를 이어나갈 유인이 크다는 분석이다. 국회법에 따르면 이달 30일까지 여야 간의 합의가 이뤄지지 않을 경우 기존 논의가 무효화 돼 원점에서 다시 논의를 해야 한다.

한 정치권 관계자는 “세입 부수 법률안은 11월 30일까지 의결해야 하고, 그렇지 못할 경우 12월 2일 예산안 부수 법안으로 지정되서 본회의에 회부가 된다는 게 국회법에서 정해져 있다”며 “26일 기재위 전체회의가 예정됐고, 여야 간에 이견이 있어 연기된다고 해도 30일에 전체회의를 열어 (통과시키는) 방법도 최악의 경우 있는 것”이라고 전했다.

금투세 폐지의 경우 여야가 합의한 사항인 만큼 원만한 통과가 예상된다. 민주당은 여야 합의 사안인 만큼 논의만 재개되면 통과시키는 것이 시간 문제라는 입장이다.

가상자산 과세 유예의 경우 여야의 입장이 갈리긴 하나 일부 합의를 점치는 전망도 나온다. 민주당은 국가 세수 결손이 큰 만큼 세수 확보를 위해 가상 자산 과세 유예에 부정적인 입장이다. 다만 금투세 페지에 합의한 만큼 형평선 논란이 제기되고 있고, 세액공제 등을 통해 적용 대상을 조정할 여지를 남겨둔 만큼 막판 합의 과정에서 조정이 이뤄질 거란 분석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기지개 켜는 석유화학, 1분기 흑자 전환 보인다
  • 챔피언스리그 4강 대진표 반 채워졌다…진출팀은?
  • 삼성전자, 14억 인도시장 공략... AI 기반 원격 AS 도입
  • 인천 부평역 앞 횡단보도 땅꺼짐…차량 통제 중
  • 단독 금감원 1332 '원스톱 연결 시스템' 도입…서민금융 상담 쉬워진다
  • 美 FDA, 동물실험 폐지 수순…‘오가노이드·장기칩’ 뜬다
  • 비교 대상이 오타니?…“우리도 이정후 있다” [해시태그]
  • 기관이 주도하는 폭력의 시대…개미들을 어떻게 살아남아야 하나 [블록렌즈]

댓글

0 / 300
  • 한번해봐라라
    트럼프도 지지율 받기위해 비트코인 얘기하는데 민주당 과세? 해봐라 니네자리가 남아있나
    2024-11-20 12:45
  • 형서기
    주식으로 4억 손실인데, 코인으로 반이라도 복구할려고 하는데, 2년만이라도 유예하는게 정세나 규제 만들고 과세하는게 맞지.. 트럼프 2.0이라고 코인부터 과세하는건 금투세폐지와도 맞지않고 서민들 허리 조르기라 생각합니다. 그리고 제발 미국 일본등 선진국에서 과세한다고 그런거나 따라가지말고 국민들을 위한 정치를 부탁합니다. 뉴스만 보면 이대표와 김건희 얘기뿐...
    2024-11-19 16:28
  • 무명A
    서민은 서민으로 있어야 민주당 뽑을거 같으니까 이러는거냐.....적당히 하고 유예합시다
    2024-11-19 13:21
  • 정주원
    모든게 세금이네, 민주당 답다. 부자되는 꼴을 못보고, 모두가 거지로 행복한 세상, 공산주의와 같은 행복한 세상 민주당이 원하는 공산당같은 세상을 만들어가보자. 세금을 걷는 방법은 민주당같이 이렇게 하는게 아니다. 규모에 경제에서 하는 말로 자본시장에 규모를 지금보다 100배를 올려서 10%에 세금을 1%로 줄여줄때 세금은 10배가 더 겉치게 된다. 그런데, 민주당은 자본시장을 1/100로 줄여서 세금을 100배로 올려서 갇는게 이익이라는 정신나간 이론을 가지고 있다. 자본시장은 붕괴되고 걷을수 있는 세금은 사라지게 된다.
    2024-11-19 10:54
  • 정주원
    민주당은 빨리 해산해라. 능력도 안되는게, 나라를 망친다. 세금을 어떻게 걷어야 많은 세금을 걷을 수 있는지도 모르는 민주당은 망하는게 정답이다.
    2024-11-19 10:53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15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2,646,000
    • -0.11%
    • 이더리움
    • 2,332,000
    • -1.02%
    • 비트코인 캐시
    • 464,800
    • -1.57%
    • 리플
    • 3,065
    • -1.29%
    • 솔라나
    • 185,600
    • -1.33%
    • 에이다
    • 895
    • -2.93%
    • 이오스
    • 858
    • -4.45%
    • 트론
    • 366
    • -0.27%
    • 스텔라루멘
    • 346
    • -1.42%
    • 비트코인에스브이
    • 40,220
    • -1.25%
    • 체인링크
    • 17,980
    • -2.12%
    • 샌드박스
    • 362
    • -3.7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