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 업황 부진에 포항제철소 1선재 폐쇄…45년만

입력 2024-11-19 17:49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올 들어 두번째 셧다운

▲포스코 포항제철소 선재공장. (사진제공=포스코)
▲포스코 포항제철소 선재공장. (사진제공=포스코)

포스코 포항제철소 1선재공장이 45년 9개월간의 가동을 마치고 셧다운(Shut Down)에 들어갔다. 포스코는 최근 글로벌 철강공급 과잉현상의 지속, 해외 저가 철강재의 공세, 설비 노후화 등의 영향을 고려해 최종 폐쇄를 결정했다.

포스코는 포항제철소 1선재공장 폐쇄를 결정했다고 19일 밝혔다. 1선재 폐쇄는 7월 포항 1제강공장에 이은 두 번째 가동 중단이다.

글로벌 선재시장은 지난해 기준 2억 톤(t) 규모의 생산능력을 갖추고 있으나 실제 수요는 0.9억 톤에 불과하다. 중국 선재밀(Mill)은 약 1억4000만 톤의 생산능력을 보유하고 있으나, 내수 건설경기 부진에 따른 수요부족 환경에서 가동률 확보를 위해 저가로 주변국에 수출하면서 글로벌 선재가격하락을 주도해왔다.

국내에서도 이러한 해외 저가 선재제품의 수입이 지속함에 따라 시장가격이 동반 하락했다. 포스코는 이러한 시장 여건에서 노후화된 설비의 경쟁력 및 수요감소의 영향을 감안해 품질과 관계없는 가격 중심 저가재 시장향(向) 공급을 축소하는 방향으로 1선재공장 효율화를 결정했다.

포항 1선재공장은 1979년 2월 28일 가동에 들어가, 두 차례 합리화를 거쳐 45년간 누적 2800만 톤 규모의 선재 제품을 생산해왔다. 1선재에서 생산한 선재제품은 못이나 나사의 재료가 되거나, 타이어코드, 비드와이어 등 자동차 고강도 타이어 보강재로 활용되는 등 국민의 일상생활과 함께해왔다.

포스코는 1선재에서 생산하던 고강도 타이어코드, 선박 및 자동차용 용접봉 등 강재를 포항 2~4선재공장에서 전환 생산할 계획이다. 1선재 전 직원은 11월 말까지 공장 정리 후, 부내 또는 타 부서로 재배치할 예정이다.

내수 저가재 시장은 이미 해외 저가 수입재 중심 시장으로 재편되어 해당 설비 조정으로 인한 시장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포스코는 앞으로 저가재 가격 중심의 경쟁시장 비중을 축소하고 자동차용 고강도 볼트(CHQ), 스프링강, 베어링강 등 고부가가치 제품 중심으로 역량을 집중하고 선재 생산ㆍ판매를 재편할 계획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한국 고마워요”…버림받은 ‘통일미’, 아프리카서 화려한 부활 [해시태그]
  • 하루 1.8끼 먹고 소득 40% 생활비로 쓰지만…"1인 생활 만족" [데이터클립]
  • 검찰, ‘경기도 법인카드 사적 유용’ 이재명 불구속 기소
  • 울산 현대차 공장, 차량 테스트 중 연구원 3명 사망
  • 내년 3기 신도시 8000가구 분양 예정…실현 가능성은 '과제'
  • 증시서 짐싸는 개미들 “정보 비대칭에 루머·음모론 지쳐”
  • 서울지하철 노조, 내달 6일 총파업 예고…3년 연속 파업 이어지나
  • 삼성 ‘호암 이병철’ 37주기 찾은 이재용…‘침묵’ 속 초격차 경쟁력 고심
  • 오늘의 상승종목

  • 11.19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8,646,000
    • +0.1%
    • 이더리움
    • 4,369,000
    • +0.3%
    • 비트코인 캐시
    • 623,000
    • -1.11%
    • 리플
    • 1,536
    • -3.52%
    • 솔라나
    • 344,000
    • +0.5%
    • 에이다
    • 1,042
    • -2.16%
    • 이오스
    • 916
    • +1.22%
    • 트론
    • 286
    • +0.35%
    • 스텔라루멘
    • 324
    • -3.28%
    • 비트코인에스브이
    • 96,750
    • -0.21%
    • 체인링크
    • 20,700
    • +1.37%
    • 샌드박스
    • 486
    • -3.1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