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단 연장하고 보자”…전셋값 강세에 서울 전월세 갱신 비율 ‘40%’ 근접

입력 2025-01-02 16:42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최근 서울 아파트 전월세 계약 중 갱신계약 비중이 급증한 것으로 확인됐다. 지난해 꾸준히 오른 서울 아파트 전셋값과 함께 지난해 하반기부터 지속한 대출 규제와 정치적 불확실성에 따른 부동산 매수 심리 급감 등으로 세입자들이 갱신을 선택한 것으로 풀이된다. 전문가는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전셋값 상승과 대출 축소 기조가 계속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갱신계약 비중 증가세는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2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통계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12월부터 이날까지 서울 아파트 전월세 거래량은 총 1만1944건으로 이 가운데 갱신계약은 4686건이었다. 전체 전월세 계약 중 갱신 사례의 비중은 39.2% 수준이다.

이는 지난해 4분기는 물론, 지난해 서울 아파트 평균 전월세 갱신계약 비중과 비교하면 약 10%포인트(p) 상승한 수치다.

국토부 실거래가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10월 서울에선 총 1만8253건의 전월세 계약이 이뤄졌는데 이 중 갱신계약은 5738건으로 전체의 31.4% 수준에 그쳤다. 또 지난해 11월에는 1만5657건 가운데 5712건이 갱신계약으로 확인됐으며 갱신 비중은 36.5%로 집계됐다.

이렇듯 서울 아파트 전월세 거래 중 갱신계약 비중은 11월과 12월 들어 평균 대비 매월 약 4%p 안팎의 상승세를 기록했다. 이는 지난해 3분기까지 비중과 비교하면 급등에 가깝다.

부동산R114 분석 결과 지난해 3분기 서울 아파트 전월세 거래 중 갱신계약 비중은 31.2%였다. 지난해 1분기와 2분기도 30.1%로 나타나 3분기까지 30% 초반 수준을 유지했다. 하지만 지난해 12월에는 지난해 상반기 평균 대비 9.1%p나 치솟아 갱신을 선택하는 세입자 비중이 급증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지난해 말 세입자들이 갱신계약을 선택한 것은 전셋값 상승의 부담을 줄이기 위해 계약갱신청구권을 사용한 사례가 늘었고, 또 주택담보대출규제 영향으로 더 큰 전셋집이나 매매로 이동하는 ‘갈아타기’ 수요가 끊긴 영향으로 해석된다.

고준석 연세대 경영대 상남경영원 교수는 “갱신계약 비중 증가는 지난해 서울 아파트 전셋값이 많이 오른 영향이 크다”며 “매매가 아닌 전셋집만 옮겨간다고 하더라도 ‘억 원’ 단위로 전세보증금이 올랐기 때문에 계약갱신청구권 등을 이용해 5%만 보증금을 올려주고 사는 것이 유리하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실제로 한국부동산원 아파트값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다섯째 주(30일 기준)까지 누적 서울 아파트 전셋값 상승률은 5.16%로 나타났다. 이는 4.50% 오른 서울 아파트 매맷값 상승률보다 0.66%p 높은 수준이다.

서울 아파트 전셋값 상승세는 올해도 지속할 것으로 예상되고, 오는 7월에는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 3단계 등 대출 규제가 시행되는 만큼 전월세 갱신계약 비중은 더 늘어날 것이란 전망이 우세하다.

고 교수는 “기준금리가 인하됐지만 실제 전세자금대출 이자 부담은 여전히 크고, 전세에서 매매로 이동하는 수요도 연말 정국 불안 등으로 매수심리가 꺾이면서 거의 없다시피 한다”며 “당분간 이어져 전월세 갱신계약 비중은 늘어날 것”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종투사 지정 예고에 분주…조직 손질에 인력 모시기 [초대형IB 대전 上] ①
  • 서울 관악구 봉천동 아파트 화재 용의자 사망…6명 중경상 [종합 2보]
  • 41년째 짜장라면 왕좌 ‘짜파게티’, 그 뒤엔 ‘커피 알갱이’ 기술 있었다[K-라면 신의 한수④]
  • 쏟아지는 중국산…한국行 급류 [무역전쟁 유탄, 반덤핑 쓰나미 上]
  • 전세사기 불씨 언제쯤 꺼질까…전국 강제경매로 팔린 주택, 1분기 내내 늘었다
  • 전장연, 오늘 혜화역 4호선 지하철 시위…출근길 혼잡 예고
  • K바이오, 남성 암 2위 ‘전립선암’ 진단·치료제 시장 개척 속속
  • 韓대행 "24일 밤 9시 한미 2+2 통상협의…'윈윈' 방안 찾기 총력"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21 14:17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5,300,000
    • +1.87%
    • 이더리움
    • 2,349,000
    • +0.77%
    • 비트코인 캐시
    • 485,800
    • -0.96%
    • 리플
    • 3,036
    • +0.86%
    • 솔라나
    • 201,900
    • -0.64%
    • 에이다
    • 917
    • +0.66%
    • 이오스
    • 932
    • +1.64%
    • 트론
    • 351
    • +0%
    • 스텔라루멘
    • 363
    • +1.97%
    • 비트코인에스브이
    • 41,920
    • +0.53%
    • 체인링크
    • 19,440
    • +3.08%
    • 샌드박스
    • 400
    • +2.5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