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주택 착공·준공 전년 대비 늘었다…거래량도 16% 증가

입력 2025-02-05 06: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미분양주택 7만173가구…증가세 지속

▲2024년 전국 주택건설실적 현황. (자료제공=국토교통부)
▲2024년 전국 주택건설실적 현황. (자료제공=국토교통부)

지난해 전국 주택 경기가 2023년 대비 소폭 회복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허가 물량은 2023년과 비슷했고, 착공과 분양, 준공 물량은 전년 대비 증가했다. 전국 주택 거래량 역시 전년 대비 약 16% 늘었다.

5일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2024년 12월 주택통계’에 따르면 주택 공급지표 중 전국의 주택 인허가 물량은 지난해 누계(1~12월) 42만8244가구로 전년 동기 대비 0.1% 감소했다. 다만 지난해 12월만 보면 전월 대비 447.3% 증가한 15만5123가구로 나타났다.

주택 착공은 지난해 누적 30만5331가구로 전년 동기 대비 26.1% 증가했다. 아파트 착공 물량은 전년 대비 36.0% 증가한 27만1514가구, 비아파트는 같은 기간 20.6% 줄어든 3만3817가구였다.

지난해 분양 물량은 총 23만1048가구로 전년 동기 대비 20.1% 증가했다. 수도권(전년 대비 13.5% 증가)과 지방(29.7% 증가) 모두 분양 물량이 늘었다. 준공 물량 역시 지난해에는 2023년 대비 3.2% 증가한 44만9835가구로 집계됐다.

지난해 전국 주택 거래량(신고일 기준)은 64만2576건으로 2023년 대비 15.8% 증가했다. 수도권(27.0%)과 지방(7.1%) 모두 전년 대비 거래량이 늘었다. 지난해 서울 주택 거래 중 아파트 거래는 5만8282건으로 전년 대비 59.9% 증가했다. 지난해 주택 전월세 거래량(신고일 기준)은 266만 건 규모로 지난해보다 2.0% 줄었다.

미분양 주택은 지난해 12월 말 기준 전국에서 7만173가구로 집계됐다. 이는 전월 대비 7.7%(5027가구) 증가한 규모다. 수도권에선 2503가구, 지방에선 2524가구가 각각 늘었다. 준공 후 미분양 물량은 2만1480가구로 전월 대비 15.2% 증가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프로야구 역대 최다기록 모음집…연승과 연패, 그리고 천적 [그래픽 스토리]
  • 내년 의대 모집인원 3058명 동결...수업참여율 26% 저조
  • 내년 의대 모집인원 3058명 동결...수업참여율 26% 저조
  • 다음 주 尹 법정 모습 공개된다…법원, 공판 촬영 허가
  • 감사원 “文 정부, 통계청·부동산원 압박해 수치 수정·왜곡 지시”
  • 트럼프 ‘관세 협상’ 깜짝 등판…일본 첫 단추부터 ‘주도권’ 뺏겨
  • “대중교통 이용도 쉽지 않으니까요”…‘임산부 교통비 지원 사업’ 이용하려면 [경제한줌]
  • [세계의 창] 푸틴, 해군 핵무기 현대화 완료 선언...전문가 의견은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17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2,110,000
    • -0.02%
    • 이더리움
    • 2,302,000
    • +0.31%
    • 비트코인 캐시
    • 477,500
    • +3.11%
    • 리플
    • 3,031
    • +0.07%
    • 솔라나
    • 192,200
    • +5.37%
    • 에이다
    • 895
    • +1.36%
    • 이오스
    • 879
    • -3.19%
    • 트론
    • 358
    • -3.24%
    • 스텔라루멘
    • 345
    • +0.29%
    • 비트코인에스브이
    • 40,120
    • -0.42%
    • 체인링크
    • 17,960
    • +1.76%
    • 샌드박스
    • 357
    • -0.8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