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세권 효과 어디로”…이천 아파트값 한 주 만에 –0.5% ‘뚝’

입력 2025-02-07 10:17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2025년 2월 3일 기준 경기 아파트값 변동률. (자료제공=KB부동산)
▲2025년 2월 3일 기준 경기 아파트값 변동률. (자료제공=KB부동산)

반도체 클러스터 조성 등 관련 산업 수혜 효과를 누리던 경기 이천시 아파트값 낙폭이 심상찮다. 업황 불황에 수도권 집값 내림세가 겹치면서 낙폭이 커진 것으로 풀이된다.

7일 KB부동산 통계에 따르면 3일 기준 이천 아파트값 변동률은 –0.50%를 기록했다. 이는 안성시(-0.55%)에 이어 경기 지역 내 하락률 2위 수준의 낙폭이다. 하락률 3위인 용인시 처인구는 –0.26%에 그쳤다. 3일 기준 경기지역 전체 낙폭은 –0.05% 수준이다.

이천시에는 SK하이닉스 본사가 들어서 대표적인 반도체 도시로 꼽힌다. 지난해 반도체 산업단지 조성 기대감으로 평택시와 용인시 등 이천을 포함한 ‘반세권’(반도체+영향권) 도시 아파트값이 큰 폭으로 올랐다. 하지만 신규 공급이 꾸준히 이어지는 가운데 정부의 반도체 클러스터 조성 사업도 지연되면서 반세권 일대 아파트값은 약세를 면치 못하고 있다.

지난달 19일 ‘이천롯데캐슬골드스카이’ 전용면적 84㎡형은 5억3350만 원에 팔렸다. 지난해 11월 19일 같은 평형이 5억8700만 원에 거래된 것과 비교하면 5000만 원 이상 하락했다.

또 평택에선 지난달 31일 ‘지제역더샵센트럴시티’ 같은 평형이 지난해 12월 29일 거래가 8억 원보다 3000만 원 하락한 7억7000만 원에 손바뀜됐다.

3일 기준으로 경기지역 내 아파트값 상승률 상위권에 오른 지역은 과천시(0.17%)와 하남시(0.03%), 용인 수지구(0.02%), 수원 영통구(0.02%) 등으로 조사됐다.

주로 서울과 가깝고, 교통이 편리한 경기지역을 중심으로 오름세가 유지됐다. 과천 중앙동 ‘과천푸르지오써밋’ 전용 59㎡형은 지난달 15일 신고가 수준인 17억8000만 원에 거래됐다. 같은 달 7일에는 전용 131㎡형이 28억2000만 원에 팔렸는데 이는 신고가인 28억5000만 원에 근접한 수준이다.

한편 경기지역 전셋값은 3일 기준으로 안성시(-0.32%), 광명시(-0.18%), 이천시(-0.18%), 광주시(-0.07%), 안양시 만안구(-0.05%) 순으로 낙폭이 컸다. 반면 과천시(0.44%), 수원시 권선구(0.3%), 용인시 수지구(0.24%) 등은 전셋값 상승을 기록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경쟁국은 자국산업 보호로 바쁜데…기업 옥죌 궁리만 하는 韓 [反기업법, 벼랑끝 제조업]
  • 새벽잠 깨운 충주 지진…"집안 흔들렸다" "한숨도 못 자"
  • 금 사상 최고가 행진에 은행 골드뱅킹 ‘화색’
  • 비트코인, 숨고르기 들어가나…연준 모호한 발언 속 내림세 [Bit코인]
  • 제주공항 오늘 윈드시어 특보…지연·결항 속출
  • ‘이 정도면 짜고 친듯’…식품업계 이번주 잇단 가격 인상 발표, 왜?
  • ‘나솔사계’ 현커 16기 영자ㆍ미스터 배, 살벌한 다툼…결국 제작진까지 투입
  • 구준엽, 故 서희원 사망 심경…"창자가 끊어지는 고통, 유산 권한 장모님께"
  • 오늘의 상승종목

  • 02.07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8,896,000
    • -2.44%
    • 이더리움
    • 4,152,000
    • -6.17%
    • 비트코인 캐시
    • 491,800
    • -5.06%
    • 리플
    • 3,525
    • -7.84%
    • 솔라나
    • 293,800
    • -7%
    • 에이다
    • 1,094
    • -7.83%
    • 이오스
    • 891
    • -6.6%
    • 트론
    • 352
    • +0%
    • 스텔라루멘
    • 492
    • -6.64%
    • 비트코인에스브이
    • 59,250
    • -6.69%
    • 체인링크
    • 28,710
    • -7.09%
    • 샌드박스
    • 577
    • -7.2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