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임단협 교섭 지속된 갈등…노조, "관세 큰 영향 없다"
국내 철강업계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발(發) 관세 충격으로 불확실성이 높아진 가운데, 현대제철 노동조합이 전면 총파업을 예고하고 나섰다.
현대제철 노조는 3일 서울 중구 금속노조 회의실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사측이 대내외 경영환경이 어렵다는 말만 되풀이하며 노사교섭에 진정성을 보이지 않고 있다”며 “임금+단체협약(임단협) 교섭을 마무리할 생각이 없다면 8일 7시부터 전면 총파업에 돌입할 것”이라고 밝혔다.
현대제철 노사는 지난해 9월부터 임단협 교섭을 이어왔지만, 핵심 쟁점인 성과급을 놓고 접점을 찾지 못하고 있다. 사측은 기본급 450%와 1000만 원의 성과급을 제시했으나, 노조는 2023년 성과에 대한 보상이 온전히 반영되지 못했다는 입장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2일(현지시간) 한국에서 생산돼 미국으로 수입되는 모든 제품에 26% 상호관세를 부과한다고 발표했다. 지난달 25% 관세가 확정된 철강·알루미늄과 자동차를 관세 부과 품목에서 제외하면서 최악의 상황은 피했지만 피해는 불가피할 것으로 우려된다. 철강과 연관된 산업·국가가 워낙 많다 보니 현대제철 역시 이날 내부 긴급 회의를 소집하는 등 시장에 미칠 여파와 대응 방안 마련에 분주히 움직였다.
관련 뉴스
앞서 현대제철은 전 임원 급여를 20% 삭감하고 전 직원을 대상으로 희망퇴직(만 50세 이상) 단행하는 등 허리띠를 조이고 있다. 수급 조절을 위해 이달 1일부터 인천 철근공장이 전면 셧다운에 들어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