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대 의대 본과 2년 수업 참여 64%…복귀 이어지나

입력 2025-04-03 15:54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서울대 본과 4학년 65% 수업 들어

▲31일 서울 종로구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해부학교실 복도에서 학생들이 발걸음을 옮기고 있다.
▲31일 서울 종로구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해부학교실 복도에서 학생들이 발걸음을 옮기고 있다.

전국 의과대학에서 의대생들이 전원 복귀한 가운데 실제 수업에 참여하는 학생들도 점차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일 교육계에 따르면 고려대 의대는 본과 2학년 74명 중 47명이 수업에 참여해 수강률은 약 63.5%인 것으로 집계됐다. 이 같은 수업 복귀 움직임은 일명 'SKY' 대학에서 모두 확인된다. 서울대 본과 4학년은 약 65%가, 연세대 본과 4학년은 47% 가량이 수업을 듣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는 앞서 의대생 단체인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학생협회(의대협)가 발표한 수강률 관련 설문 결과와 차이가 있다. 의대협은 전날 15개 의대 재학생 6571명 중 실제 수업에 참여하고 있거나 참여 예정인 학생은 3.87%인 254명에 그쳤다고 밝혔다.

전날 서울대 의대 수업 거부 수요 조사에서도 전체 응답자 668명 중 528명(79.0%)이 '수업 거부'에 투표한 것으로 전해졌다.

한편 이날 연세대 의대 교수 517명은 홈페이지에 글을 올리고 학생들이 수업에 참여할 것을 독려하기도 했다.

이들은 '학생 복귀에 대한 연세대 의대 교수의 입장'이라는 제목의 글을 올리고 “용기를 내 학교로 돌아온 이상 젊음의 소중한 시간을 희생하지 말고, 수업에 참여해 자랑스러운 연세대 의과대학의 전통을 이어가는 주축이 되어주길 희망한다”고 밝혔다.

정부를 향해서는 내년도 의대 정원을 3058명으로 확정해야 한다고도 촉구했다.

이들은 “2026년 의대 정원을 3058명으로 조속히 확정할 것을 촉구한다”며 “더 이상 학생들에 대한 압박을 중단하고, 열린 마음으로 학생들의 요구를 경청할 것을 촉구한다”고 했다.

이어 “무리한 증원으로 인해 정상적인 교육이 어려워진 현 상황에서 학생이 양질의 의학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최대한의 지원을 요구한다”고 했다.

교육부는 이달 중순쯤 학생들의 수업 참여도를 지켜본 뒤 2026학년도 의대 모집인원에 대한 입장을 밝힐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의대 교육이 정상적으로 이뤄질 경우 내년도 의대 모집인원을 증원 전인 3058명으로 되돌리겠다고 밝힌 바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몽글몽글한 그 감성…인스타 꾸미기 고민이라면, '디지털 레트로' 어떠세요? [솔드아웃]
  • 산불·관세전쟁에 12.2조원 추경…"성장률 0.1%p 상승 효과"[필수추경]
  • 비트코인, 미 증시 혼조에도 상승…8만 달러 중반 넘어서나 [Bit코인]
  • “세종시 집값 심상찮네”…대통령실 이전설 재점화에 아파트값 상승 전환
  • 제주 찾는 전세계 MZ 관광객...유통업계, 특화 마케팅 한창[K-관광, 다시 혼저옵서]]
  • 호텔신라 신용강등 위험… 회사채 수요예측 앞두고 악재
  • 오프로드ㆍ슈퍼카로 고성능 시대 연 제네시스…국산 차의 '엔드게임' 노린다 [셀럽의카]
  • '재개발 끝판왕' 한남뉴타운, 시공사 속속 정해져도...다수 구역 여전히 지연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1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2,513,000
    • +0.41%
    • 이더리움
    • 2,297,000
    • -0.3%
    • 비트코인 캐시
    • 478,500
    • -0.29%
    • 리플
    • 3,009
    • -0.59%
    • 솔라나
    • 194,100
    • +0.88%
    • 에이다
    • 889
    • -0.11%
    • 이오스
    • 903
    • +2.15%
    • 트론
    • 355
    • -0.56%
    • 스텔라루멘
    • 353
    • +2.92%
    • 비트코인에스브이
    • 41,040
    • +1.71%
    • 체인링크
    • 18,290
    • +1.78%
    • 샌드박스
    • 374
    • +4.7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