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국방장관, 우크라이나 지원 회의 불참 전망”

입력 2025-04-04 09:36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다음 주 27차 UDCG 회의 불참 소식
의장직도 2월부터 내려놔

▲피트 헤그세스 미국 국방장관이 지난달 28일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마닐라/AFP연합뉴스
▲피트 헤그세스 미국 국방장관이 지난달 28일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마닐라/AFP연합뉴스
피트 헤그세스 미국 국방장관이 우크라이나 지원을 논하기 위해 동맹국들이 모이는 회의에 불참할 것으로 보인다고 CNN방송에 소식통을 인용해 3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다음 주 벨기에 브뤼셀에서 열리는 우크라이나 방위연락그룹(UDCG) 회의는 러시아 침공에 맞서 우크라이나를 지원하기 위한 자리로, 전쟁이 발발했던 2022년 로이드 오스틴 당시 미 국방장관 주도로 설립됐다. UDCG에는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회원국 57곳과 비회원국 25곳이 포함됐다. 회의는 지금까지 총 26차례 열렸다.

회의를 개최하는 의장은 항상 오스틴 장관이나 미 국방부 고위급 인사가 맡았다. 그러나 올해 처음 열렸던 2월 회의에서는 존 힐리 영국 국방장관이 의장직을 수행하면서 미국과 UDCG 사이에 묘한 기류가 흘렀다. 당시 헤그세스 장관은 “미국이 더는 유럽 안보의 보증인이 되지 않을 것이고 우크라이나가 나토에 가입할 가능성은 매우 작다”며 찬물을 끼얹기도 했다. 이달 회의도 힐리 장관이 의장을 맡는다.

이런 상황에서 헤그세스 장관이 이번 회의에는 아예 참석도 하지 않을 것이라는 소식이 나오고 있다. 우크라이나에 대한 무조건적 지원을 반대하는 트럼프 정부가 그룹 내 영향력을 줄이려는 동시에 최근 러시아와 휴전 협상을 놓고 얼굴을 마주하고 있어 외부 활동을 자제하는 것으로 보인다. 미국을 대표해 국방부 고위 관계자가 회의에 참석하지 않는 건 UDCG가 창설된 지 3년 만에 이번이 처음이라고 소식통은 설명했다.

키이우포스트는 “헤그세스 장관은 취임 전부터 미국이 우크라이나 자체 방어를 지원하기 위해 지출한 돈은 대부분 낭비였다고 말했다”며 “미국이 UDCG 회의를 건너뛸 계획이라는 소식은 전날 유럽연합(EU)이 예정대로 우크라이나에 35억 유로(약 5조6125억 원)를 지원하겠다고 발표한 다음에 나왔다”고 전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대중 관세 125%·나머지는 유예”…트럼프 상호관세 美·中 2파전 재편
  • 단독 NH농협ㆍ부산銀, 연내 ‘외국인 특화 창구’ 신설 [블루오션 외국인금융]
  • [종합] 헌재 “박성재, 내란 가담 증거 없다”…탄핵소추 전원일치 기각
  • 주식왕은 누구?…‘1조 클럽’ 총수들의 주식 성적표 [그래픽 스토리]
  • “술 먹기 좋지만 씁쓸하네”…물가상승·불황에 술값 경쟁 나선 자영업자들 [이슈크래커]
  • 트럼프 '관세 유예'에 美 증시 폭등했지만…씁쓸한 '뒷맛'? [이슈크래커]
  • 이낙연 등판 임박?…출마 시점은 [종합]
  • “야구 유니폼 못 구했다면 이곳으로”…외국인도 찾는 KBO스토어 논현점 [가보니]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10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18,203,000
    • -3.32%
    • 이더리움
    • 2,263,000
    • -7.93%
    • 비트코인 캐시
    • 432,500
    • -4.48%
    • 리플
    • 2,921
    • -3.88%
    • 솔라나
    • 167,100
    • -4.68%
    • 에이다
    • 899
    • -4.26%
    • 이오스
    • 926
    • -12.39%
    • 트론
    • 351
    • +0.29%
    • 스텔라루멘
    • 342
    • -4.74%
    • 비트코인에스브이
    • 40,990
    • -3.07%
    • 체인링크
    • 17,880
    • -4.89%
    • 샌드박스
    • 380
    • -0.7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