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헌재, 국회 운영에 고언…‘의회 독재’ 민주당 답하라”

입력 2025-04-05 13:18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헌재 주문대로 대화·타협 통해 정치 복원해야”

▲문형배 헌법재판소장 권한대행(가운데)이 4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 대심판정에서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인용 결정문을 낭독하고 있다. 2025.4.4. (연합뉴스)
▲문형배 헌법재판소장 권한대행(가운데)이 4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 대심판정에서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인용 결정문을 낭독하고 있다. 2025.4.4. (연합뉴스)

국민의힘은 5일 헌법재판소가 윤석열 전 대통령의 파면을 결정하는 과정에서 국회 운영에 대한 고언(苦言)을 아끼지 않았다며 “원내 절대다수 의석을 바탕으로 의회 독재의 길로 가고 있는 더불어민주당이 답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국민의힘은 이날 정광재 대변인 명의의 논평을 통해 “이번 판결에는 우리 정치가 간과해서는 안 되는 다른 중요한 내용도 담겼다”며 이같이 말했다.

정 대변인은 “헌재는 윤 전 대통령에 대해 엄중한 책임을 묻는 한편 정치권, 특히 국회 운영에 대해서 고언을 아끼지 않았다”며 “‘국회가 소수의견을 존중하고 정부와의 관계에서 관용과 자제를 전제로 대화와 타협을 통해 결론을 도출하도록 노력했어야 한다’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비록 헌재가 국회 내 절대 다수의석을 가진 민주당을 특정하지는 않았지만, 이제 국민은 다수결을 무기로 ‘이재명 방탄’과 ‘윤석열 정권 조기 퇴진’에만 몰두해 왔던 원내 1당의 책임을 함께 묻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 “실제 윤 전 대통령 취임 후 비상계엄 선포 전까지 민주당은 22건의 탄핵안을 발의했고 헌정사 최초의 야당 단독 감액 예산안을 의결하기까지 했다”고 꼬집었다.

정 대변인은 “헌재의 주문대로 관용과 자제, 대화와 타협을 통해 의회 민주주의를 복원할 때만 대한민국은 더 나은 미래로 갈 수 있다”며 “국민의힘은 정치 복원을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윤 전 대통령을 배출한 집권 여당으로, 국민의힘은 헌정사에 오점으로 남을 대통령의 탄핵 사태를 미연에 막지 못했다는 데 대해 머리 숙여 사과드린다”며 “국민의힘은 비상계엄과 탄핵 정국으로 야기된 혼란을 수습하고, 헌정 질서가 흔들리지 않고 운영될 수 있도록 우리 당에 주어진 헌법적 책무를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뽀빠이 아저씨’ 이상용, 오늘 별세…향년 81세
  • 김문수 측 “홍준표, 선대위원장 임명” 공지했지만…洪 '거절'[종합]
  • '50주년' 자라, 어떻게 패션의 '속도'를 바꿨나 [솔드아웃]
  • 손흥민·황희찬·김민재…유럽서 빛나는 한국 축구 기둥들의 최애 차량은 [셀럽의카]
  • 떠돌이 NC의 임시 홈구장은 롯데의 세컨하우스?...울산 문수야구장과의 두번째 인연 [해시태그]
  • 단독 검찰 “文, ‘태국 생활 자금지원 계획’ 다혜 씨 부부에 직접 전달”
  • 치매·요양보험 쏟아진다…맞춤형 상품으로 ‘눈길’ [그레이트 시니어下]
  • SKT '위약금 면제' 법률 검토, 6월 말 가능…"조사단 결과 나와야"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5.09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4,471,000
    • +3.21%
    • 이더리움
    • 3,232,000
    • +15.31%
    • 비트코인 캐시
    • 571,500
    • -2.14%
    • 리플
    • 3,300
    • +5.3%
    • 솔라나
    • 237,400
    • +7.57%
    • 에이다
    • 1,094
    • +7.47%
    • 이오스
    • 1,190
    • +0.85%
    • 트론
    • 366
    • +3.98%
    • 스텔라루멘
    • 416
    • +7.49%
    • 비트코인에스브이
    • 56,750
    • +3.94%
    • 체인링크
    • 22,300
    • +6.24%
    • 샌드박스
    • 457
    • +10.9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