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S의 공포’ 촉발...글로벌 시장, 팬데믹급 충격 휘말려

입력 2025-04-06 13:12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뉴욕증시 3대 지수, 이틀간 최대 10% 이상 대폭락
2020년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최악
유럽·아시아증시도 줄줄이 급락
트럼프 관세·중국 보복 여파
JP모건 올해 미국 경기침체 전망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상호관세에 지난주 글로벌 증시가 일제히 폭락했다. 사진은 미국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4일(현지시간) 트레이더가 머리를 감싸고 있다. 뉴욕/로이터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상호관세에 지난주 글로벌 증시가 일제히 폭락했다. 사진은 미국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4일(현지시간) 트레이더가 머리를 감싸고 있다. 뉴욕/로이터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충격에 글로벌 시장이 혼란에 빠졌다. 미국의 스태그플레이션(고물가 속 경기침체) 가능성과 글로벌 경기침체 우려 확산에 2020년 일어났던 코로나19 팬데믹(전염병 대유행) 쇼크가 재연됐다.

5일(현지시간) CNBC방송에 따르면 뉴욕증시는 지난주 마지막 2거래일 동안 최대 10% 넘게 대폭락했다. 특히 마지막 거래일인 전날에만 3대 지수 모두 6% 가까이 폭락하며 2020년 팬데믹 이후 최악의 성적을 냈다. 다우지수는 사상 처음으로 이틀 연속 1500포인트 넘게 하락하는 기록을 세우기도 했다.

전날 유럽증시도 범유럽증시 벤치마크인 스톡스유럽600지수가 5% 넘게 급락한 가운데 독일과 영국, 프랑스 증시 모두 4% 넘게 내렸다. 아시아증시에선 아시아다우지수가 3.41% 급락했고 일본이 2.75%, 홍콩과 인도가 각각 1.52%, 1.22% 내렸다. 중국과 대만은 ‘청명절’ 휴장 덕분에 폭락장을 가까스로 피했다.

투자자들이 안전자산에 몰리면서 미국 10년물 국채 금리는 다시 4% 밑으로 떨어졌고, 공포지수로 불리는 시카고옵션거래소(CBOE) 변동성지수(VIX)는 40을 돌파했다. 40은 시장이 급락할 때만 나타나는 극단적 수치다.

반면 국채와 함께 안전자산으로 불리며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던 금값은 3% 가까이 급락했다. 주식 투자자들이 손실을 메우기 위해 금을 팔아치운 결과라고 CNBC는 분석했다.

글로벌 증시가 무너진 건 이틀 새 트럼프 대통령이 세계 각국에 상호관세를 부과한 데 이어 미국과 함께 주요 2개국(G2)인 중국이 미국산에 34% 보복 관세를 천명한 탓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4일 시장 폭락 후 트루스소셜에 “정책은 절대 바뀌지 않을 것”이라며 강경한 태도를 유지하고 있다.

바워삭캐피털의 에밀리 바워삭 힐 최고경영자(CEO)는 “강세장은 끝났다. 이념가들과 (미국이) 스스로 가한 상처 때문에 파괴됐다”며 “시장은 단기적으로 바닥에 가까워질 수 있지만, 글로벌 무역 전쟁이 장기적인 경제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우려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미국은 인플레이션이 아직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목표치인 2%까지 내리지 못한 상황에서 경기침체 가능성이 생기면서 스태그플레이션 우려가 커지고 있다. JP모건은 관세 발표 후 올해 미국이 경기침체에 빠질 것으로 전망했다. 마이클 페롤리 JP모건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투자자 서한에서 “미국 국내총생산(GDP)이 관세 무게로 인해 위축될 가능성이 크다”며 “경기침체 때문에 실업률은 5.3%까지 치솟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어 “앞으로 몇 달 동안 예상하는 가격 상승 압박은 팬데믹 이후 인플레이션 급등보다 더 큰 타격을 줄 수 있다”고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일부러 경제를 위기에 빠뜨리고 있다는 분석마저 나오고 있다. 미국 경제 전문매체 비즈니스인사이더는 “트럼프 대통령은 경제 혼란을 일으킴으로써 기준금리를 낮추려 할 수 있다”며 “이는 미국이 훨씬 더 저렴한 비용으로 부채를 재융자하고 부채 수준이 극단적으로 치솟는 것을 막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대중 관세 125%·나머지는 유예”…트럼프 상호관세 美·中 2파전 재편
  • 단독 NH농협ㆍ부산銀, 연내 ‘외국인 특화 창구’ 신설 [블루오션 외국인금융]
  • [종합] 헌재 “박성재, 내란 가담 증거 없다”…탄핵소추 전원일치 기각
  • 주식왕은 누구?…‘1조 클럽’ 총수들의 주식 성적표 [그래픽 스토리]
  • “술 먹기 좋지만 씁쓸하네”…물가상승·불황에 술값 경쟁 나선 자영업자들 [이슈크래커]
  • 트럼프 '관세 유예'에 美 증시 폭등했지만…씁쓸한 '뒷맛'? [이슈크래커]
  • 이낙연 등판 임박?…출마 시점은 [종합]
  • “야구 유니폼 못 구했다면 이곳으로”…외국인도 찾는 KBO스토어 논현점 [가보니]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10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0,847,000
    • +4.38%
    • 이더리움
    • 2,352,000
    • +5.66%
    • 비트코인 캐시
    • 435,000
    • +6.02%
    • 리플
    • 2,953
    • +7.54%
    • 솔라나
    • 168,900
    • +5.63%
    • 에이다
    • 921
    • +7.72%
    • 이오스
    • 976
    • -2.59%
    • 트론
    • 357
    • +3.48%
    • 스텔라루멘
    • 346
    • +4.22%
    • 비트코인에스브이
    • 41,000
    • +4.19%
    • 체인링크
    • 18,230
    • +6.55%
    • 샌드박스
    • 374
    • +3.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