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는 어쩌고...머스크 “미국·유럽 자유무역지대 만들자”

입력 2025-04-06 15:29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이탈리아 극우정당 행사서 발언
“이상적으로는 무관세로 나아가야”
관세 주도한 나바로 백악관 고문 저격도

▲마테오 살비니(왼쪽) 이탈리아 부총리가 5일(현지시간)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와 화상으로 대담하고 있다. 출처 살비니 엑스(X·옛 트위터) 캡처
▲마테오 살비니(왼쪽) 이탈리아 부총리가 5일(현지시간)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와 화상으로 대담하고 있다. 출처 살비니 엑스(X·옛 트위터) 캡처
미국 정부효율부(DOGE) 수장을 맡은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대뜸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에 반기를 들었다.

5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머스크 CEO는 이탈리아 피렌체에서 열린 극우 정당 레가의 행사에 화상으로 참석해 유럽에 무관세 제도 도입을 제안했다.

그는 레가 대표이자 이탈리아 부총리인 마테오 살비니와의 화상 대담에서 “내 생각에 유럽과 미국 모두 이상적으로는 무관세 상황으로 나아가야 한다”며 “이는 사실상 유럽·북미 간 자유무역 지대를 형성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미국과 유럽이 매우 긴밀한 파트너십을 구축하길 바란다”며 “유럽과 북미를 더 자유롭게 오가는 사람들이 많았으면 좋겠다”고 강조했다.

이 같은 발언은 2일 전 세계를 대상으로 상호관세를 발표한 트럼프 대통령의 입장과 대조되는 부분이다. 뉴욕타임스(NYT)는 ‘긴밀한 파트너십’을 거론한 부분도 트럼프 행정부 관리들이 유럽을 대상으로 보여온 ‘멸시’와는 정반대 기조라고 짚었다.

▲도널드 트럼프(오른쪽) 미국 대통령이 지난달 11일(현지시간) 워싱턴D.C. 백악관에서 열린 행사에서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를 보고 있다. 워싱턴D.C./AP뉴시스
▲도널드 트럼프(오른쪽) 미국 대통령이 지난달 11일(현지시간) 워싱턴D.C. 백악관에서 열린 행사에서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를 보고 있다. 워싱턴D.C./AP뉴시스
또 머스크 CEO는 전날 관세 정책에 관해 극단적인 접근방식을 취해오던 피터 나바로 백악관 무역·제조업 담당 고문을 공개적으로 비판했다. 그는 엑스(X·옛 트위터)에서 ‘미디어에 나오는 가짜 전문가와 달리 나바로는 하버드대에서 경제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는 우파 인플루언서의 발언에 “하버드에서 경제학 박사를 받는 건 나쁜 일이지 좋은 일이 아니다”라고 반박했다. 이어 “그건 두뇌보다 자아가 더 크다는 문제로 귀결된다”고 지적했다. 또 다른 X 이용자가 “나바로가 100% 옳다”고 재반박하자 머스크 CEO는 “그는 아무것도 한 게 없다”고 답을 달았다.

이처럼 머스크 CEO와 트럼프 행정부 사이에서 최근 묘한 기류가 흐르고 있다. 머스크 CEO가 DOGE 업무에서 손을 뗄 수 있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백악관이 “쓰레기 보도”라며 반박했지만, 머스크는 테슬라 주가가 올 들어 반 토막 난 것에 대해 “DOGE 업무를 맡은 것에 대한 대가”라고 시인하기도 했다.

한편 머스크 CEO는 관세 이외 부문에서는 트럼프와 같은 입장을 보였다. 그는 이날 행사에서 “대규모 이민은 미친 짓이다. 무제한으로 이민을 허용하는 건 모든 국가의 파괴로 이어질 것”이라며 “(이민을 허용한) 국가는 그저 존재하지 않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표현의 자유’에 대해서도 “어느 쪽이 좋고 나쁜지는 자유를 제한하려는 쪽이 어딘지를 보면 알 수 있다”며 “검열을 밀어붙인다는 점에서 좌파가 표현의 자유에 반대하는 쪽이라는 것이 아주 분명해진다”고 비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프란치스코 교황 선종…바티칸 "전생을 주님·교회에 헌신"
  • 콜드플레이→BTS도 서울 떠난다…'고양'은 왜 스타들의 성지가 됐나 [이슈크래커]
  • “설레발은 필패, 입을 조심해야”…월드컵 역사를 수놓은 김칫국 한마당 [이슈크래커]
  • 음주운전자에게 "음주운전 왜 하세요?" 물어봤더니 [데이터클립]
  • 봉천동 아파트 방화 용의자는 과거 주민…층간소음 이웃 갈등 잦았다
  • 41년째 짜장라면 왕좌 ‘짜파게티’, 그 뒤엔 ‘커피 알갱이’ 기술 있었다[K-라면 신의 한수④]
  • 쏟아지는 중국산…한국行 급류 [무역전쟁 유탄, 반덤핑 쓰나미 上]
  • 서울 토허제 구역 내 입주권도 규제 대상…“준공 후 실거주 2년”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2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4,705,000
    • +2.38%
    • 이더리움
    • 2,331,000
    • +2.1%
    • 비트코인 캐시
    • 487,100
    • +0.91%
    • 리플
    • 3,034
    • +2.43%
    • 솔라나
    • 199,800
    • +0.1%
    • 에이다
    • 915
    • +2.92%
    • 이오스
    • 928
    • +3%
    • 트론
    • 349
    • -1.13%
    • 스텔라루멘
    • 371
    • +6%
    • 비트코인에스브이
    • 41,770
    • +1.56%
    • 체인링크
    • 19,290
    • +2.77%
    • 샌드박스
    • 401
    • +5.25%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