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헌론'을 둘러싼 정치권의 입장차가 뚜렷해지고 있는 가운데 더불어민주당은 "시기가 맞지 않는다"며 신중론을 제기하고 있다.
7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최고위원회의에서 "개헌 필요성에는 공감하지만, 지금은 내란 종식이 우선"이라고 밝혔다.
또한 지금 당장은 민주주의의 파괴를 막는 것이 훨씬 더 긴급하고 중요하다”며 “내란 종식에 집중했으면 좋겠고, 국힘도 개헌으로 적당히 넘어가려고 생각하지 않기를 바란다”고 강조했다.
이날 전현희 최고위원도 최고위 회의에서 “개헌은 주권자인 국민이 주체”라며 “기득권 세력이 자신들의 권력을 연장하고 주도권을 잡으려는 내각제, 이원집정부제는 국민이 용납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대통령 책임정치가 가능하고 국민 지지를 받는 4년 중임제 개헌안만이 논의해볼 수 있을 것”이라며 “국힘이 개헌 논의에 참여하려면 내란 종식이 전제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관련 뉴스
광주·전남 국회의원들도 개헌 반대 의사를 표명했다. 민형배 의원(광주 광산을)은 7일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1987년 개헌안 마련에 90일이 걸렸다. 정치권과 국민적 분열이 극대화한 지금 60일 동안 개헌안을 마련하는 것은 물리적으로 불가능하다"고 적었다.
이어 그는 "지금 개헌 논의를 시작하는 건 내란 세력에게 도피처를 제공하는 것이나 마찬가지"라며 "헌법의 주인이 국민이듯 개헌의 주인도 국민이어야 한다. 개헌의 시작과 끝을 정치권이 아닌 국민에게 맡겨야 한다"고 말했다.
박지원 의원(해남·완도·진도)도 "개헌은 찬성한다. 그러나 그렇게 번갯불에 콩 구워 먹듯 뚝딱 될까"라며 "지금은 내란종식, 정권교체의 시간"이라고 반대 의사를 내비쳤다.
정준호 의원(광주 북구갑) 역시 "대선까지 60일도 남지 않았다. 정권의 향방이 걸린 절체절명의 순간에 개헌 국민투표까지 치르자는 건 책임 있는 정치인의 자세가 아니다"라며 "그건 누군가에게 유리한 판을 짜려는 정치적 계산으로밖에 보이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김한규 의원도 개헌 반대 의사를 내비치며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를 향해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가 이재명 대표를 향해 ‘호헌세력’이라며 비난하는 걸 보고 너무 기가 막힌다”라며 “헌법이 문제인가, 한 전 대표가 몸담은 그 당이 문제인가”라고 비판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