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속통합기획이 주택 정비 중심에서 도시정비형 재개발까지 확대된다.
9일 서울시는 올해부터 도심 내 정비예정구역을 대상으로 신속통합기획·
공공정비계획 수립에 들어간다고 밝혔다.
최근 결정된 '2030 도시·주거환경정비기본계획(도시정비형 부문)'에서 도심 내 정비예정구역이 확대됨에 따라 이들 대상지에 신속통합기획을 적용, 도심 정비·활성화를 더욱 체계적으로 지원할 수 있게 됐다.
도시정비형 재개발은 상업지역 등에서 도시기능 회복과 활성화를 목표로 시행하는 정비방식이다. 공공이 우선 토지이용·기반시설·건축물 밀도 등에 대한 계획(공공정비계획)을 수립한 뒤에 단위사업별로 민간사업자가 세부 건축계획을 세우게 된다.
서울시는 신속통합기획을 적용한 공공정비계획이 마련되면 △중심지 기능 복합화 △녹지생태도심 조성 △직주혼합도시 실현을 위한 계획과 역사·문화유산 등 정책 변화에 따른 새로운 정비 방안을 제시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사업 실현 가능성을 높여 적극적인 민간 참여도 유도할 계획이다.
아울러 기존의 토지이용과 기반시설 위주의 정비계획에 경관·가로 활성화 계획 등 건축기획 설계 요소가 종합적으로 반영된 '도시·건축 통합설계 지침'을 마련, 특화 디자인이 반영된 건축물의 형태와 콘셉트도 구체화할 방침이다.
역사·문화유산, 지역산업, 가로특성 등을 고려한 저층부 계획과 녹지생태도심 구현을 위한 개방형 녹지, 보행축 등 공공공간계획 수립도 병행한다.
공공정비계획 수립 이후에는 사업지구별 정비사업이 신속히 추진될 수 있도록 '신속통합기획 자문'을 적용해 절차를 간소화할 계획이다.
조남준 서울시 도시공간본부장은 "그동안 각종 규제로 한계에 직면해 있었던 도심개발에 새 숨을 불어넣게 될 것"이라며 "노후한 도심 정비를 앞당겨 서울의 성장과 혁신을 이끄는 발판이 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