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14일 퓨리오사AI 방문…“지원 정책 제시·협력 방안 논의”

입력 2025-04-13 14:1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대선 출마 선언 후 첫 공식일정…“성장경제 행보”

▲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에 출마한 이재명 예비후보가 11일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집권 청사진 등을 소개하는 '비전 선포식 및 캠프 일정 발표'를 하고 있다. 2025.4.11    kjhpress@yna.co.kr/2025-04-11 11:19:46/<저작권자 ⓒ 1980-2025 ㈜연합뉴스.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에 출마한 이재명 예비후보가 11일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집권 청사진 등을 소개하는 '비전 선포식 및 캠프 일정 발표'를 하고 있다. 2025.4.11 kjhpress@yna.co.kr/2025-04-11 11:19:46/<저작권자 ⓒ 1980-2025 ㈜연합뉴스.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연합뉴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예비후보가 14일 대선 출마 선언 후 첫 공식 일정으로 인공지능(AI) 반도체 팹리스 기업인 퓨리오사 AI를 찾는다.

강유정 이재명 캠프 대변인은 13일 공지를 통해 “이 예비후보는 출마선언 후 첫 공식 일정으로 성장경제 행보를 진행한다”며 이같은 내용을 밝혔다.

강 대변인은 “이 예비후보는 글로벌 AI 반도체 시장에서 엔비디아(NVIDIA)의 독점을 깰 한국산 기술력 현장을 직접 방문해 AI 산업 분야에서도 세계를 주도할 수 있다는 비전과 지원 정책을 제시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관계자들과의 간담회를 통해 정부와 기업의 협력 방안에 대해 논의할 예정”이라고 부연했다.

일정에는 윤후덕 캠프 정책본부장과 이해식 비서실장, 김태선 수행실장, 강 대변인이 동행한다. 퓨리오사AI에서는 백준호 CEO, 정영범 상무 등이 참석한다.

앞서 이 예비후보는 대선 출마 선언 영상에서 첨단과학기술 투자를 강조한 바 있다. 이 예비후보는 “과학기술 수준이 너무 높아져 개별 기업이 감당할 수 없는 상황”이라며 “정부의 인력 양성, 대대적인 기술, 연구·개발 투자로 살아날 수 있다”고 주장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헌정 초유 ‘대대대행’ 체제, 이주호 “막중한 책임감”…33일간 국정 맡는다
  • SKT, 해킹 여파에 시총 1조 증발…KT·LGU+, 주가 고공행진 ‘반사이익’
  • “하늘이 노했다?” 서울 하늘 덮은 특이 구름, 5월 연휴 날씨 전망은…
  • 완성차 업계 ‘주 4.5일제’ 논의 재점화…정치권 공약에 노조 요구 탄력
  • ‘찌를 필요 없다’ 먹는 비만약, 국내 시장 재편할까
  • “2나노 주도권 경쟁 본격화”…삼성전자, TSMC와 격차 좁힐까 [ET의 칩스토리]
  • 4월 서울 아파트 거래 68% 급감…‘토허제 역기저’에 강남3구 90%↓
  • 트럼프 車ㆍ부품 관세 완화에도 ‘공급망 재편’ 불가피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5.02 09:36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9,737,000
    • +2.67%
    • 이더리움
    • 2,663,000
    • +2.86%
    • 비트코인 캐시
    • 523,000
    • -1.88%
    • 리플
    • 3,199
    • +1.14%
    • 솔라나
    • 218,400
    • +2.49%
    • 에이다
    • 1,022
    • +3.13%
    • 이오스
    • 1,022
    • +4.93%
    • 트론
    • 353
    • -1.12%
    • 스텔라루멘
    • 398
    • +1.79%
    • 비트코인에스브이
    • 54,100
    • -1.64%
    • 체인링크
    • 21,390
    • +3.13%
    • 샌드박스
    • 440
    • +2.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