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도보 30분 내에서 생활편의, 여가, 돌봄, 학습, 공공서비스를 모두 누릴 수 있는 '서울형 보행일상권' 조성에 나선다.
22일 서울시는 곳곳이 도보로 다양한 활동이 가능한 자족적인 생활공간으로 거듭날 수 있도록 밑그림을 그리는 시범사업에 본격적으로 착수한다고 밝혔다.
보행일상권은 미래공간전략 '2040 서울도시기본계획'에서 처음 제시된 것으로 팬데믹·디지털 대전환과 같은 사회적 여건 변화에 따라 주거지의 일상 중심공간 부상 등 생활양식을 반영한 도시 공간 개념이다. 멀리 이동하지 않고도 주거지 인근에서 다양한 일상을 누릴 수 있는 자족적 생활권을 의미한다.
서울시는 이달 9일 보행일상권 8개 시범대상지를 선정했다. 대상지는 △평창·부암(종로구) △금호·옥수(성동구) △청량리(동대문구) △신길(영등포구) △정릉(성북구) △수유(강북구) △홍제(서대문구) △양재(서초구)다.
관련 뉴스
이번 시범사업은 보행일상권 실현을 위한 계획 마련에 초점을 맞췄다. △역세권 등 주요 거점을 중심으로 한 보행일상권 조성 계획 △보행일상권 내 필수시설 확충 계획 △접근성 향상을 위한 생활 가로의 네트워크 구축 방안 등을 수립할 예정이다.
이를 바탕으로 9월까지 보행일상권 조성계획 기준을 마련하고 향후 서울 전역으로 점차 확대할 방침이다.
서울시는 2023년부터 용역을 시행해 보행일상권 개념을 국내외 n분 도시 이론을 바탕으로 구체화하고 7개 분야 40여 개의 보행일상권 필수시설을 도출했다. 해당 시설에는 생활편의, 공공·의료, 여가, 돌봄시설 등이 포함된다.
서울시는 시범사업을 통해 대상지별 보행일상권 필수시설 현황을 분석하고 지역 특성을 반영한 맞춤형 시설 확충 방안도 마련할 계획이다.
공공시설은 기부채납이나 공공기금을 활용하고 민간시설은 지구단위계획 내 권장 용도로 유도하는 방안 등도 제시할 예정이다.
조남준 서울시 도시공간본부장은 "서울 전역에 100개 이상의 작지만 강한 자족형 생활권을 조성해 시민의 일상에 실질적인 변화를 만들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