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아동 저층 주거지, 1200가구 아파트 변신…신통기획 확정

입력 2025-04-23 08:2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미아동 345-1일대 신속통합기획 단지 조성 계획안. (사진제공=서울시)
▲미아동 345-1일대 신속통합기획 단지 조성 계획안. (사진제공=서울시)

서울 강북구 미아동 일대 저층 주거지가 1200여 가구 주거 단지로 탈바꿈한다.

23일 서울시는 미아동 345-1일대 신속통합기획을 확정했다고 밝혔다. 서울시는 지역과 함께 성장하고 교류하는 '함께하는 미아 플랜'을 목표로 △북한산, 북서울꿈의숲 등 지역자원을 활용한 경관계획 △주변 지역과 조화를 이루는 실현 가능한 개발계획 △가로별 특성을 살린 편리하고 안전한 보행·교통체계 마련 △지역과 교류하고 소통하는 주민편의공간 조성이란 원칙을 담았다.

먼저 대상지 남쪽 솔샘로에서는 북한산이 한눈에 들어오게 하고 북서울꿈의숲과 성암국제무역고등학교 등이 인접한 특성을 고려해 교육과 자연 자원을 유기적으로 연계할 수 있는 녹지공간을 계획했다.

솔샘로에서 단지 내부로 갈수록 높아지는 스카이라인을 단계적으로 구성해 북한산 조망을 최대한 살리고 학교와 맞닿은 부분에는 공원을 배치해 학생들의 학습과 커뮤니티 활동을 지원할 수 있게 했다.

단지 중앙에는 선형 관장을 조성해 동쪽으로 북서울꿈의숲을 조망할 수 있는 동서 방향의 조망 축을 형성하고 선형 광장 주변에는 주민 공동이용시설을 배치했다.

또 삼양사거리를 중심으로 삼양지구중심 지구단위계획, 미아2재정비촉진지구 등 다수의 개발사업과 구역 내 종교시설 등 존치시설을 고려했다. 용도지역은 2종 7층에서 3종으로 상향해 용적률 300%, 1200여 가구 규모의 개발계획을 수립했다.

아울러 대상지 남쪽 미아2재정비촉진지구 계획과 연계해 2개 차로를 추가로 확보하고 도로체계를 조정해 보차분리 통한 안전한 보행환경을 조성했다.

생활기반시설을 충분히 확보하는 데도 주력했다. 현재 삼양사거리역과 연결되는 지역주민들의 생활 가로인 솔샘로를 따라 저층부에 근린생활시설을 배치해 연속성이 유지되도록 했고 포켓 공원도 조성할 계획이다.

조남준 서울시 도시공간본부장은 "개발 사각지대에 있던 미아동 345-1번지 일대는 지역 성장을 견인하는 축으로 발돋움하게 될 것"이라며 "주거환경 개선과 지역 활성화를 동시에 실현해 오랜 기간 침체한 지역에 활력과 공동체의 생기가 되살아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민주·국힘, 추경 13.8조 합의…정부안보다 1.6조 증액
  • "자녀가 겨우 도와줘" 유심 해킹 혼란 속 드러난 '디지털 격차'
  • 끝내 돌아오지 않은 의대생들…10명 중 7명 유급되나
  • 검찰, 尹 전 대통령 ‘직권남용’ 불구속기소
  • 한덕수, 총리서 대선주자로...빅텐트 성사·대선 완주 '관건'
  • 되살아난 '사법리스크'…李, 변수 안고 '완주' 전망
  • 5개 재판 중 첫 대법 판단…대통령 당선 땐 재판 멈출까
  • 수출 3개월 연속 '플러스'...트럼프發 관세 정책에 대미 수출은 6.8%↓[종합]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30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7,171,000
    • +0.65%
    • 이더리움
    • 2,618,000
    • +1.12%
    • 비트코인 캐시
    • 526,500
    • +0.29%
    • 리플
    • 3,178
    • -0.84%
    • 솔라나
    • 217,100
    • +2.55%
    • 에이다
    • 1,004
    • +0.1%
    • 이오스
    • 976
    • -0.91%
    • 트론
    • 359
    • +1.7%
    • 스텔라루멘
    • 394
    • -1.5%
    • 비트코인에스브이
    • 55,000
    • +0.73%
    • 체인링크
    • 21,450
    • +2.48%
    • 샌드박스
    • 437
    • +3.0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