웅진코웨이, 9분기 연속 최대 매출 달성

입력 2009-11-06 13:02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3분기 매출액 3552억원, 영업이익 498억원

웅진코웨이는 6일 공시를 통해 3분기 매출과 영업이익이 3552억원, 498억원으로 전년 동기대비 각각 7.7%, 0.7% 증가했다고 발표했다.

웅진코웨이는 실적호조의 요인으로 ▲ 음식물처리기 신제품 판매급증 ▲ 공기청정기 판매증가 ▲ 중국법인 화장품사업의 성장 등을 꼽았다.

먼저 국내시장에서 음식물처리기 판매 성장이 주목할 만 하다. 지난 7월 음식물처리기 신제품 (WM05) 출시로 3분기 음식물처리기 판매량은 3만7000대를 넘어 전년동기대비 240%나 증가했다. 이번 신제품은 기존모델에 비해 처리용량과 소음 등 고객들에게 높은 만족도를 보이고 있어, 음식물처리기 시장확대와 함께 판매량도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분석된다.

공기청정기군 역시 가을황사와 신종플루의 영향으로 판매호조를 보이며 전년 동기대비 5.1%가 성장했고, 특히 9월 렌탈판매는 전년동월 대비 41.3%가 증가했다. 웅진코웨이는 ‘항바이러스 필터’ 출시 이후 급증하는 공기청정기 생산량을 맞추기 위해 유구공장 생산라인을 2개에서 4개로 확장하고 4분기 추가수요에 대비하고 있다.

해외사업부문에서는 화장품사업 호조로 인한 중국법인의 성장세가 돋보인다. 중국 화장품사업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3분기에만 5천200만RMB(약 90억원), 2045만RMB(약 35억원)을 기록. 전년동기대비 각각 86.1%, 121.9%가 증가했다.

웅진코웨이는 신규 판매채널의 확대와 하이엔드 제품 출시, 포괄적 마케팅활동 등을 화장품사업의 성장요인으로 꼽았다. 화장품사업과 함께 환경가전 분야 매출액도 전 분기대비 18.6% 증가해 중국법인 실적호조에 기여했다.

경기침체에도 불구하고 9분기 연속 최대매출을 기록한 웅진코웨이는 3분기 누적매출 1조405억 원을 달성, 창립 이후 최초로 3분기 만에 매출 1조를 돌파하였다.

렌탈비지니스의 가장 큰 성과지표라 할 수 있는 렌탈 및 멤버쉽 순증계정수는 3분기누적 기준으로 전년대비 121.1% 증가했고 해약율도 1.05%로 낮아져 안정적인 성장기반을 유지해나가고 있다. 이는 페이프리 제휴사업의 확대와 하나 더 갖기 프로모션, 신제품 출시 등 공격적인 마케팅활동의 결과로 해석되며 이를 바탕으로 올해 역시 연간기준으로 역대 최대매출 달성을 눈앞에 두고 있다.

웅진코웨이 전략기획본부 김상준 상무는 “음식물처리기 공기청정기 등 렌탈판매 증가와 중국 화장품사업의 급성장으로 3분기에도 견조한 실적을 보였으며, 4분기에도 실적 호조세를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망곰이 유니폼, 제발 팔아주세요"…야구장 달려가는 젠지, 지갑도 '활짝' [솔드아웃]
  • "돈 없어도 커피는 못 참지" [데이터클립]
  • 네이버웹툰, 나스닥 첫날 9.52% 급등…김준구 “아시아 디즈니 목표, 절반 이상 지나”
  • 사잇돌대출 공급액 ‘반토막’…중·저신용자 외면하는 은행
  • [종합] 바이든 vs트럼프 ‘TV토론 진흙탕 싸움’…주요 쟁점은?
  • 임영웅, 레전드 예능 '삼시세끼' 출격…"7월 중 촬영 예정"
  • '손웅정 사건' 협상 녹취록 공개…"20억 불러요, 최소 5억!"
  • 9월까지 김포골드라인 열차 5대 증편, 배차간격 줄여 수송력 20%↑
  • 오늘의 상승종목

  • 06.28 14:54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6,295,000
    • +0.6%
    • 이더리움
    • 4,834,000
    • +1.79%
    • 비트코인 캐시
    • 545,500
    • +3.81%
    • 리플
    • 668
    • +1.52%
    • 솔라나
    • 202,500
    • +5.52%
    • 에이다
    • 544
    • +2.26%
    • 이오스
    • 817
    • +2.25%
    • 트론
    • 171
    • -1.16%
    • 스텔라루멘
    • 128
    • +1.59%
    • 비트코인에스브이
    • 63,850
    • +3.15%
    • 체인링크
    • 20,000
    • +3.36%
    • 샌드박스
    • 470
    • +1.2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