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위, 외화 레버리지 및 외은지점 규제 "안 한다"

입력 2009-11-06 16:11 수정 2009-11-08 13:57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대신 금융사 외화안전자산 최저 한도 부여 예정

금융위원회는 6일 외화 레버리지 규제는 당분간 검토하고 있지 않다며 외화자산 한도에 대한 규제는 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금융위는 대신 금융회사의 외화유동성 규제 강화를 위해 외화안전자산 보유 관련 최저 한도를 부여키로 결정했다.

또 연내 금융연구원, 자본시장연구원, 보험연구원 등과 공동으로 금융위기 이후 정책 과제를 담은 중장기 비전도 마련한다는 방침을 세운 것으로 알려졌다.

추경호 금융위 금융정책국장은 이날 오후 정례 브리핑 자리에서 이 같은 입장을 밝히며 "현재 외화 레버리지 비율 설정 문제는 바젤위원회 논의 동향을 보아가며 국내 적용 방안을 추후 검토할 문제"라고 말했다.

따라서 정부가 조만간 확정 발표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진 금융회사 외환건전성 제고 방안에 외화 레버리지 비율 규제는 제외가 확실시 될 전망이다.

추 국장은 "현재 금융위와 금융감독원이 마련한 초안에 대해 관계기관간 실무 협의가 마무리 단계에 도달했다"며 "금융사 외환건전성 제고 및 감독 강화 방안과 관련한 구체적인 세부 추진 방안이 조만간 나올 예정"이라고 밝혔다.

추 국장은 외은지점 규제와 관련해서도 "전혀 검토하고 있지 않다"며 "조만간 발표할 외환 건전성 방안에는 외은 지점 유동성 규제 등 외환 관련 직접적인 규제는 제외돼 있다"고 거듭 강조했다.

대신 금융위는 금융회사의 외화유동성 규제 강화를 위해 외화안전자산 보유 관련 최저 한도를 부여할 계획이라며 동 방안에는 외화유동성 비율 책정을 위한 자산형태별 가중치 수준, 외화안전자산 보유 최저한도 등이 포함시켰다.

외환파생상품거래 리스크 관리 관련 실물거래 대비 선물활거래 한도와 중장기 외화대출재원조달 비율 강화 수준 등도 외환건전성 제고 방안에 포함됐다.

추 국장은 이외에도 "위기 이후 금융시스템과 마켓, 그리고 산업 및 인프라 측면에서 우리 금융시장이 나아가야 할 중장기 정책 과제를 포괄한 금융 선진화 중장기 비전 마련 작업을 현재 수행 중"이라고 전했다.

추 국장은 "동 금융 선진화 중장기 비전에는 국내외 불안 요인이 완전히 해소되지 않은 점을 감안해 당장 내년에 준비해 시행해야 할 단기 과제도 포함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그는 중소기업대출 및 보증 만기연장 등의 보증비율 확대, 패스트트랙 등의 프로그램 종료 여부 질문에 "올해 말까지 한시적인 중소기업 지원 조치 연장 여부에 대해 구체적으로 합의된 바 없다"고 답변했다.

그는 "어떤 순기능이 있는지, 변화가 있으면 어떤 영향을 줄 것인지 등을 기술적으로 검토하고 있는 단계"라고 짧게 답변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망곰이 유니폼, 제발 팔아주세요"…야구장 달려가는 젠지, 지갑도 '활짝' [솔드아웃]
  • "돈 없어도 커피는 못 참지" [데이터클립]
  • 네이버웹툰, 나스닥 첫날 9.52% 급등…김준구 “아시아 디즈니 목표, 절반 이상 지나”
  • 사잇돌대출 공급액 ‘반토막’…중·저신용자 외면하는 은행
  • [종합] 바이든 vs트럼프 ‘TV토론 진흙탕 싸움’…주요 쟁점은?
  • 임영웅, 레전드 예능 '삼시세끼' 출격…"7월 중 촬영 예정"
  • '손웅정 사건' 협상 녹취록 공개…"20억 불러요, 최소 5억!"
  • 9월까지 김포골드라인 열차 5대 증편, 배차간격 줄여 수송력 20%↑
  • 오늘의 상승종목

  • 06.28 14:31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6,391,000
    • +0.57%
    • 이더리움
    • 4,838,000
    • +1.75%
    • 비트코인 캐시
    • 545,500
    • +3.31%
    • 리플
    • 667
    • +1.21%
    • 솔라나
    • 202,600
    • +5.58%
    • 에이다
    • 545
    • +2.06%
    • 이오스
    • 818
    • +2.25%
    • 트론
    • 171
    • -1.72%
    • 스텔라루멘
    • 128
    • +2.4%
    • 비트코인에스브이
    • 63,800
    • +2.99%
    • 체인링크
    • 20,000
    • +3.25%
    • 샌드박스
    • 471
    • +1.5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