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세계 2위 스마트폰인 블랙베리의 보안 문제에 대해 각국이 문제를 제기하면서 스마트폰 보안문제가 국가 간 외교 갈등으로 비화되고 있다.
12일 관련업계와 외신에 따르면, 전 세계적으로 스마트폰 열풍이 불고 있는 가운데 정보검열이나 해킹 등 보안 위협이 커지면서 각국에 비상이 걸렸다. 스마트폰이 통신환경을 음성통화 위주에서 자국민이나 기업의 다양한 정보가 노출되는 데이터 통신 중심으로 변화시키면서 국가간 통신 보안문제가 이슈로 부각되고 있는 것이다.
최근 사우디아라비아는 블랙베리 제조사인 캐나다의 리서치인모션(RIM)과 협의를 갖고 자국내 블랙베리 서비스 중단 방침을 무기한 연기했다. 자국 국민들이 블랙베리의 메시지 기능을 통해 주고받는 정보를 사우디 당국이 검열할 수 없다는 이유에서다.
이에따라 캐나다 정부가 중재에 나서 리서치인모션(RIM)사가 사우디 정부에게 블랙베리 메시지를 검열할 수 있도록 사용자 코드를 제공키로 했다. 사생활 보호를 이유로 사용자코드를 주지 않겠다던 입장에서 후퇴한 것이다.
이에 따라 사우디와 마찬가지로 리서치인모션(RIM)사의 서버접근을 요구하고 있는 다른 나라들의 요구도 거세질 전망이다. 현재 사우디 외에 아랍에미리트(UAE), 레바논, 인도, 중국, 인도네시아 등도 블랙베리의 보안 기능을 문제 삼고 있다.
특히 아랍에미리트는 RIM이 협조하지 않을 경우 오는 10월 11일부터 블랙베리의 메신저와 e-메일, 인터넷 검색 서비스를 중단시킬 계획이다.
유럽은 검열보다는 국가적 차원의 정보 주권 문제에 접근하고 있다. 독일은 지난 9일(현지시각) 보안을 이유로 공무원들에게 아이폰·블랙베리 사용을 금지했다.
블랙베리로 주고받는 모든 정보가 캐나다와 영국에 있는 리서치인모션(RIM)사의 서버에 직접 전송되기 때문에 스마트폰을 통해 영국이나 캐나다발 해킹을 우려해서다. 앞서 유럽연합위원회(EC)와 프랑스 역시 비슷한 이유를 들어 업무용 표준 휴대폰으로 블랙베리를 제외시킨 상태다.
스마트폰 보안은 블랙베리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폐쇄적인 애플리케이션 등록 시스템을 내세워 강력한 보안성을 자랑하던 애플사 아이폰도 보안결함 문제에 대해 곤혹을 치르고 있다.
독일 정부와 자국 보안업체 시만텍이 보안결함에 대해 문제제기를 한데 이어, 프랑스 정부 역시 해커들이 인터넷을 통해 아이폰 등 애플 제품에서 사용자 정보를 빼내고 통화를 도청할 수 있다고 경고하는 등 어려움에 처했다.
한편 지난 10일 서울 역삼동 소재 구글코리아를 경찰청 사이버테러대응센터가 전격 압수수색 하는 등 우리나라도 예외가 아니다. 구글이 3차원 지도 서비스인 구글 스트리트뷰 서비스 구축 과정에서 개인정보를 무단 수집했다는 혐의다.
경찰 관계자는 “보통 위치 정보를 알려면 위성항법장치(GPS)를 이용하는데 GPS가 장착돼 있지 않은 노트북이나 스마트폰에서도 이 서비스를 이용하게 하고자 구글은 시내 곳곳에서 잡히는 와이파이(무선랜)망을 통해 위치를 확인하는 방법을 사용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구글의 개인정보 수집이 문제가 되고 있는 국가는 독일, 캐나다, 호주 등 전세계 30여개 국가다. 미국, 독일, 오스트레일리아, 캐나다 등 이미 스트리트뷰가 서비스되고 있는 나라들에선 개인정보 불법 수집을 둘러싼 공방이 끊이지 않고 있다.
업계 전문가는 “스마트폰을 비롯한 신종 인터넷 접속기기가 보급되면서 공짜로 무선 인터넷을 즐길 수 있는 와이파이가 통신 인프라의 핵심으로 부상하면서 보안문제에 대한 전반적인 검토가 있어야 한다”며 “구글의 불법적인 개인정보 수집은 사생활 침해가 분명하므로 확실한 재발 방지책이 마련돼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