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상장기업의 35%가 부실기업인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금리가 1%포인트만 올라도 이들 기업에 대한 부실대출은 1300억원 가량 증가할 것으로 예상됐다.
금융연구원 이지언 금융시장·제도연구실장은 21일 전 세계 상장회사의 재무제표가 수록된 ‘오시리스(OSIRIS)’의 자료를 기반으로 국내 1600개 상장회사(작년 9월 기준)를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이자보상비율 100% 미만인 부실기업은 2008년 현재 561개로 35%를 차지했다고 밝혔다.
특히 이자보상비율이 3년 연속 100%에 못 미친 기업은 289개로 전체 부실기업의 51%가 부실 상태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자보상비율(영업이익/이자비용)은 기업이 영업이익으로 이자를 갚을 수 있는 능력으로, 이 비율이 100%에 못 미치면 돈을 벌어 이자도 못 갚는 셈이다.
3년 이상 만성적 부실기업은 정보기술(IT), 전자, 미디어 업종에 많이 분포했다.
구체적으로는 미디어 15개(업종 내 비중 31.9%), IT서비스 13개(31.7%), 통신장비 27개(31.4%), 섬유·의복 22개(30.1%), 전자장비·부품 26개(22.4%) 등이었다.
이들 부실기업은 수익성도 매우 낮아 퇴출기업과 맞먹는 수준으로 분석됐다. 7년 연속 부실기업은 ROA(총자산순이익률)가 -20%로 집계됐는데, 이는 주식시장에서 퇴출당한 기업의 직전 3년간 ROA(-23%)와 비슷한 수준이었다.
한편 부실기업은 그 자체로 부도 확률이 높을 뿐 아니라 금융 시스템의 건전성과 다른 기업의 경영에도 악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됐다.
7년 연속 부실기업의 평균 부도확률은 1.57%로 7년 연속 우량기업의 부도확률 0.37%에 견줘 4~5배 높게 계산됐다.
또한 금리 상승을 가정한 ‘스트레스 테스트’ 결과 부실기업이 늘면서 부실대출도 큰 폭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금리가 1%포인트 오르면 만기 1년 미만의 원화 단기차입금을 기준으로 한 부실대출은 1360억원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 금리가 3%포인트까지 큰 폭으로 상승하면 부실대출 증가 폭이 약 1조3000억원으로 금리 1%포인트 인상 때와 비교해 10배 가까이 됐다.
이 실장은 “부실기업 비중이 큰 업종을 중심으로 과잉투자 여부를 살피고, 임시 재무제표 등을 이용해 수시로 기업의 신용위험을 재평가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