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5월부터 산업은행을 비롯한 채권단과 GM대우의 대주주인 미국 GM의 팽팽한 줄다리기는 일단락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반면 대출금을 갚고 ‘기술이전’ 약속을 등지는 것이 아니냐는 논란도 불거지고 있다.
GM대우 마이크 아카몬 사장은 이날 공식입장을 통해 “대출금 전액을 모두 상환할 수 있게 된 것은 회사 재무상태가
호전됐기 때문”이라며 “이로써 회사의 미래 금융비용이 감소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GM대우가 예정대로 산업은행의 대출금을 갚게 되면 채권단과의 기존 여신약정은 이달 중으로 종료된다. 동시에 대출과 관련된 약정이행 의무도 사라지게 된다.
GM대우는 지난 5월 대출 만기를 3개월 연장해달라는 입장을 채권단에게 전달했으나 채권단은 “미국 GM이 GM대우에 기술이전을 비롯한 생산량 보존 등에 대한 구체적인 계획이 나오지 않으면 만기 연장은 불가능하고 오히려 대출금을 회수할 수 밖에 없다”는 입장을 고수했다.
무엇보다 채권단 측은 “GM대우에 기술이전 등이 이뤄지면 추가 대출도 가능하다”는 입장을 밝혀 대출금 상환보다 기술이전에 대한 중요성을 더욱 강조했다.
그러나 GM측은 채권단의 ‘기술이전’요구를 수용하기 어렵다는 입장과 함께 지난 4월 만기가 돌아온 2500억원의 대출금을 갚았고 이후에도 원금 상환을 계속해 왔다.
채권단에서는 GM대우가 대출금 전액상환 의사를 밝힌 데 대해 “대우차의 알짜 자산을 헐값에 인수한 데다 채권단으로부터 특혜성 대출을 받았던 GM이 당시 약속한 기술이전과 관련된 이행약정을 결국 저버리는 것”아니냐고 비판적인 입장을 보였다.
당초 예상됐던 “한국의 GM대우가 GM의 생산기지로 전락할 것”이라던 우려가 현실화될 수도 있게 됐다.
이런 가운데 재계와 자동차 업계에서는 “GM이 GM대우에 대한 기술이전은 현실적으로 역설”이라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상대적으로 큰 차만 만들어온 GM은 글로벌 시장을 공략하기 위한 소형차 노하우가 전무한 상황이다. 이 시점에서 소형차 개발 노하우와 디자인 역량은 오히려 GM대우가 앞서 있는 상황이다.
GM대우 측은 이와 관련해 “재무적인 건전성이 개선돼 대출금을 상환키로 했다”고 밝히고 “대출금을 갚더라도 산업은행은 회사의 제 2대 주주이며, 산업은행이 제기한 협의사항에 대해서는 계속 논의해 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