벤 버냉키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 Fed.) 의장이 도입을 결정한 2차 양적완화에 대한 6주간의 성적표는 일단 낙제점을 면치 못할 전망이다.
버냉키 의장이 2차 양적완화를 시사한 8월말 이후 주가는 상승했다. 그러나 지난 3일 공개된 11월 미 고용지표는 버냉키의 판단이 옳았음을 입증할 정도로 충격적인 결과를 내보였고 장기금리가 급등하면서 연준의 2차 양적완화 목적을 무색케했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발행 규모가 9조달러(약 1경원)에 달하는 미 국채시장을 인위적으로 움직이는 데는 한계가 있다고 보고 있다.
14일(현지시간) 열리는 미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는 11월 3일 연준이 추가 양적완화를 결정한 이래 처음 열리는 회의로, 지난 6주간의 2차 양적완화 효과를 점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번 FOMC에서는 여전히 높은 실업률과 낮은 인플레 기대감, 이에 따라 최근 경기 회복세가 진행되고 있지만 그 속도가 여전히 기대에 못 미친다는 점에 주목, 기존의 정책을 고수할 것으로 전망된다.
지난 8월말 버냉키 의장이 2차 양적완화를 시사한 이후 뉴욕 증시의 다우지수는 14% 상승했다. 미국의 개인 절반이 주식을 보유하고 있는 만큼 주가 상승은 소비심리를 녹여 연말 특수도 낙관적이다.
문제는 장기금리 상승이다. 연준이 금융완화의 수단으로 미 국채 매입을 선택한 것은 장기금리를 낮춰 개인의 주택 구입과 기업의 설비투자를 자극하는 것이 가장 큰 목적이었다.
그러나 장기금리의 지표인 10년만기 미 국채 수익률은 지난 8월말 2.5% 이하에서 3.3%대로 상승했다. 채권 시장에서 경기 회복과 디플레 우려 후퇴를 반영해 금리가 상승했다면 연준도 걱정하지 않을 터.
버락 오바마 대통령이 공화당이 주장하는 ‘부시 감세’를 전면 수용키로 하면서 재정악화를 우려해 미 국채에 매도세가 몰린 양상이다. 따라서 이번 FOMC에서는 장기금리 상승 요인을 분석하는 것이 최대 쟁점이 될 것이라는 분석이다.
전문가들은 미 국채는 발행 규모가 9조달러에 달하는 거대 시장으로 인위적으로 움직이는데도 한계가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리먼 브러더스 사태 이후 모기지담보부증권(MBS)을 매입해 모기지 금리를 낮춘 전략보다 걸림돌이 많은 셈이다.
버냉키 의장 역시 이 사실을 간과할 리 없다는 것이 시장의 중론이다. 버냉키 의장은 2005년 한 강연에서 ‘세계적 과잉저축(global saving glut)’에 대해 거론한 바 있다.
당시는 신용 버블이 한창인 가운데 연준은 긴축 정책을 유지했다. 그럼에도 장기금리는 낮은 수준에 그쳐, 당시 앨런 그린스펀 연준 의장은 이를 ‘수수께끼(Conundrum)’로 정의했다. 당시 그린스펀의 수수께끼 해독에 나선 것이 버냉키였다. 버냉키는 신흥국들이 재화와 석유 수출로 불린 자금으로 세계 국채를 공격하고 있다며 이 영향으로 세계적으로 장기금리가 하락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시장에서는 이번에도 버냉키 의장이 장기금리 상승을 낮추기 위해 다시 ‘세계적 과잉저축’의 향배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세계적 과잉저축이 축소로 전환될 조짐이 전망이 보이기 때문이다.
미국의 민간 싱크탱크인 매킨지는 최근 “싼 자본에 대한 작별? 글로벌 투자와 저축의 장기적 이동”이라는 제목의 방대한 양의 보고서를 공개했다. 보고서는 신흥국은 향후 저축을 자국의 인프라 정비에 사용할 수 밖에 없기 때문에 글로벌 금융시장의 큰 손이 되기 어려워질 것이라는 내용을 담고 있다.
매킨지는 “결국 세계적으로 장기금리 상승 압력을 받게 될 것”이라며 “신흥국의 투자 가속화는 세계 장기금리를 평균 1.5% 끌어올릴 것”이라고 내다봤다. 결국 신흥국이 현재와 같은 수준으로 미 국채를 매입하지 않으면 연준이 매입해도 효과는 제한될 수 밖에 없다는 이야기다. 따라서 전문가들은 장기금리 억제대책은 시간과의 싸움이라고 입을 모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