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험료 인상을 놓고 소비자들이 혼란을 겪고 있다. 금융당국과 보험사가 서로 줄다리기를 하면서 소비자들만 피해를 보고 있다. 전문가들은 선거를 앞두고 보험료 인상을 최소화 시키려는 금융당국의 압박도 문제지만 보험사들이 꼼수를 부리는 게 이번 혼란의 주범이라고 지적했다.
16일 금융당국에 따르면 국내 주요 생명보험사들은 7월부터 보험료를 평균 5% 올린다. 손보사가 주력판매하는 의료비 실손보험의 보험료도 4월부터 10∼20% 오른다. 이같은 인상률은 당초 보험사의 인상案보다 절반 가까이 하락한 수치다.
이번 보험사는 보험료 책정에 큰 영향을 미치는 표준이율이 4월1일부터 4.00%에서 3.75%로 0.25%포인트 낮아지기 때문에 보험료 인상이 불가피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여기에 보험사들의 꼼수가 숨어있다.
보험사들은 이율이 떨어지면 수익률도 떨어지기 때문에 보험료를 인상해야 한다고 주장했지만 애초부터 표준이율을 0.75% 포인트 내려달라고 요청한 것이 바로 보험사들인 것으로 알려졌다. 보험료를 인상시킬 명분을 만들어 달라고 금융당국에 입김을 불어넣은 것이다.
또한 손보업계는 실손보험 손해율이 워낙 높아 두 자릿수 인상이 불가피하다고 주장해 왔다. 현재 실손보험 손해율은 보험료 인상 요인이 발생하는 100%보다 훨씬 높은 120%에 달하는 게 사실이다.
하지만 이는 보험사들이 자초한 일이라는 게 보험전문가들의 지적이다. 한 보험전문가는 “손보사들은 지난해 절판마케팅으로 언더라이팅 기준을 대폭 낮춰 매출을 끌어올려 놓고 이 과정에서 생긴 불량물건들이 손해율 급등으로 이어지자 이제는 보험료를 올려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마디로 묻지마 판매를 한 후에 책임을 소비자에게 떠 넘기고 있다는 것이다.
금융위 관계자는 “실손보험의 손해율 급등은 당시 보험사들이 표준화를 앞두고 무리한 영업을 한 탓도 있다”며 “보험업계가 보험료 인상의 빌미를 제공한 측면이 있다고 말했다.
보험사와 당국이 보험료 인상 폭으로 줄다리기를 하는 과정에서 가장 큰 피해를 본 것은 선량한 소비자들이다.
대다수 생보사 설계사들은 4월부터 보험료가 10% 이상 인상되니 빨리 가입을 해야한다며 소비자들을 현혹시켰고, 손보사 설계사들도 4월부터 보험료가 40%까지 올라가니 지금 당장 보험에 가입하지 않으면 낭패를 볼 수 있다며 고객을 끌어모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