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내년부터 정보시스템 클라우드 본격 도입

입력 2012-04-30 16:5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오는 2013년부터 정부 중앙부처에서 정보시스템을 새로 만들거나 교체할 때에는 클라우드 신기술이 전면 적용된다. 클라우드 기술을 적용하면, 필요한 만큼만 IT자원을 할당하고 사용 후에 반납하는 구조로 개선돼 시스템 구축·운영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행정안전부는 이 같은 내용의 ‘범정부 클라우드컴퓨팅 추진 정보화전략 계획’을 수립하고, 30일 서필언 제1차관 주재로 결과 보고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정부통합전산센터는 지난 2009년부터 47개 중앙부처의 IT자원 수요를 모아 고성능서버로 통합해 공동활용하는‘제1단계 정보자원 통합사업’을 추진해 왔다.

2011년도까지 개별 서버 1334대를 통합해 총 1023억원의 비용을 절감했고, 올해 660대 서버를 추가로 통합하면 510억원이 절감돼 연말에는 중앙부처 IT자원의 구축·운영비 30% 절감이 예상된다.

2013년부터 시작될 ‘제2단계 정보자원 통합’의 정보화전략계획에 따르면, 먼저 부처별 시스템을 저비용·고효율의 클라우드 인프라로 단계적으로 전환해, 2017년에 60%까지 확대할 예정이다. 또한 각 부처 업무용SW의 체계적인 관리와 중소기업 개발자의 편의를 위해 모든 부처가 활용하는 응용SW 개발 및 테스트 환경을 제공하고, 스마트 오피스, 모바일 등을 위한 공통 플랫폼을 구축해 부처간 중복 개발을 방지하고 공동활용을 촉진한다.

전 부처 공통사용 SW는 클라우드 기술을 적용해 구축없이 접속만으로 사용하는 멀티테넌시(공동임차) 소프트웨어 서비스로 전환할 예정이다.

아울러, 클라우드 구축시 국산화가 가능한 범용서버를 도입하고 공개SW를 현재 20%에서 2017년 50%까지 확대 하는 등 민간 IT산업 활성화 및 중소·중견 기업 육성도 병행할 예정이다.

이날 보고회에 참석한 서필언 제1차관은 “모바일·스마트워크 등을 통해 근로환경 개선, 사회현안 해결에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며 또한 “정부 클라우드 구축시 중견·중소기업이 함께 참여해 산업에 활력을 줄 수 있는 방안도 추진할 것”을 당부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망곰이 유니폼, 제발 팔아주세요"…야구장 달려가는 젠지, 지갑도 '활짝' [솔드아웃]
  • "돈 없어도 커피는 못 참지" [데이터클립]
  • 네이버웹툰, 나스닥 첫날 9.52% 급등…김준구 “아시아 디즈니 목표, 절반 이상 지나”
  • 사잇돌대출 공급액 ‘반토막’…중·저신용자 외면하는 은행
  • [종합] 바이든 vs트럼프 ‘TV토론 진흙탕 싸움’…주요 쟁점은?
  • 임영웅, 레전드 예능 '삼시세끼' 출격…"7월 중 촬영 예정"
  • '손웅정 사건' 협상 녹취록 공개…"20억 불러요, 최소 5억!"
  • 9월까지 김포골드라인 열차 5대 증편, 배차간격 줄여 수송력 20%↑
  • 오늘의 상승종목

  • 06.2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6,257,000
    • +0.88%
    • 이더리움
    • 4,834,000
    • +1.79%
    • 비트코인 캐시
    • 549,000
    • +4.87%
    • 리플
    • 668
    • +1.67%
    • 솔라나
    • 203,200
    • +6.33%
    • 에이다
    • 543
    • +1.69%
    • 이오스
    • 820
    • +1.99%
    • 트론
    • 171
    • -1.72%
    • 스텔라루멘
    • 128
    • +1.59%
    • 비트코인에스브이
    • 63,500
    • +3.17%
    • 체인링크
    • 19,940
    • +3.69%
    • 샌드박스
    • 472
    • +1.7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