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노동부가 오는 6월1일 발표하는 5월 실업률과 일자리 증감 통계 발표에 정치권과 경제계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실업률은 ‘마의 벽’으로 알려진 8% 선을 유지하느냐 아니면 깨지느냐에 따라 대통령 선거를 6개월도 채 남겨두지 않은 상황에서 미국 정가에 엄청난 파급 효과를 가져온다.
또 뉴욕과 세계 증시도 이에 맞춰 한차례 파동을 칠 것으로 보인다.
지난달 실업률은 8.1%로 39개월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이는 전달보다 0.1%포인트 떨어진 것으로 재선을 노리는 민주당의 버락 오바마 대통령 캠프나 백악관 탈환을 꿈꾸는 공화당의 밋 롬니 전 매사추세츠 주지사 진영 모두에게 썩 좋지도 나쁘지도 않은 수치였다.
어느 한 쪽의 패배를 점치거나 승리를 낙관할 정도의 숫자가 아니라는 것이다.
실업률은 지난해 5월 9.1%에서 6월 9.2%로 뛰었다가 7월 다시 9.1%로 내려간 뒤 8~9월 같은 수치를 유지했고 10월 9.0%로 다시 떨어졌다.
이어 지난해 11월 8.6%로 예상 밖의 큰 하락폭을 기록하고 나서 12월 8.5%, 올해 1월과 2월에는 8.3%, 3월 8.2%, 4월 8.1% 등으로 점차 하향곡선을 그리고 있는 상태다.
고용 지표 개선과 경기 회복에 대한 기대감을 키워주고는 있지만 오바마 취임 당시의 7.8%와 비교하면 아직 높은 수준이다.
실업률은 2009년 2월 이후 3년 이상 8% 아래로 떨어진 적이 없다. 오바마 대통령은 ‘1948년 이후 최장 기간 고실업률’이라는 불명예 기록을 꼬리표처럼 달고 있는 셈이다.
일각에서는 실업률 8%의 벽이 5월에도 깨지기 어려울 것으로 보고 있다.
블룸버그통신은 27일(현지시간) 68명의 이코노미스트를 상대로 한 5월 고용지표 설문조사에서 실업률 예측치가 평균 8.1%로 집계됐다고 보도했다.
이 예상이 맞을 경우 실업률은 전월과 같은 수준을 유지하는 것이다.
일자리는 15만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됐다.
이는 지난 6개월간 가장 적게 늘어났던 4월의 11만5000개보다 많은 것이고 고용 시장의 점진적인 회복으로 해석될 수 있다.
다만 오바마·롬니 어느 쪽에 결정적인 호재나 악재가 되지는 못하는 수치이다.
줄리아 코로네이도 뉴욕 BNP파리바 북미 담당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노동 시장이 좋아지고는 있으나 경기 회복을 좀 더 강하게 견인할 정도의 고용 창출은 아니다”라며 “유럽의 상황 악화를 막는다면 하반기 좀 더 많은 고용 증가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전문가들의 전망이 적중한다면 오바마 대통령이 공식적으로 대선 출정식을 하기 전날 나온 4월의 ‘애매한 수치’를 놓고 그랬듯 양측은 또 한 차례 “뒤로 가느냐 앞으로 가느냐”의 설전을 벌일 것으로 보인다.
오바마 대통령은 당시 이 수치를 제시하면서 “앞으로 더 많은 일을 해야 하고 향후 4년을 뒤로 가는데 허비해서는 안된다.”고 강조했다.
롬니 전 주지사는 이에 대해 “진전이라고 할 수 없으며 매우 실망스럽다”면서 “미국인들은 4년 전과 비교해 살기 힘들어졌다고 생각한다”고 비판했다.